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the Dance Giftedness

무용영재성 판별도구 개발

  • Received : 2012.02.02
  • Accepted : 2012.02.27
  • Published : 2012.03.28

Abstract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4 factors of dance giftednes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206 dancers was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In order to dancer the construct validity, fou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54 items, resulting in 20 items of 4 factors; physique, dance attitude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movement abilit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292 dancers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4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x^2$, Q, root mean square residual(RMR), goodness of fit index(GFI), Tucker-Lewis index(TLI), comparative fit index(CFI),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RMSEA). The concurrent and cross validity indices proved the validity of 20 items of 4 factors.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무용영재성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무용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 구조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무용영재의 잠재성을 대변할 수 있는 적합한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무용영재성 구성요인인 신체적 조건, 동작수행능력, 표현 및 창의성, 무용태도 요인을 바탕으로 초기문항을 개발하였다. 1차 기초조사는 무용을 전공자와 직업무용단 단원 등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여 총 206명에게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요인(신체적요인, 표현 및 창의성, 무용태도, 동작수행능력)과 20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모형(4개의 구인과 20개의 문항)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설문조사 대상과는 다른 무용전공생과 직업무용단 단원 등을 선정하여 총 292명에게 2차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해 4요인의 20개인 문항에 대한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어 최종으로 채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은숙, "발레 영재 판별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2. 오레지나, 문영, 김윤진, 안문경, 김기웅, "무용영재성의 요인탐색",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4호, pp.745-752, 2005.
  3. 이진효, 박현정, 이진희 "무용영재성 구성요인에 관한 경험적 탐색, 한국무용기록학회지, 제23권, pp.83-98, 2011.
  4. J. S. Renzulli,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of defintion Phi Delta Kappen, Vol.60, pp.180-184, 1978.
  5. 권성호, "운동몰입의 구성개념과 척도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6. 탁진국,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7.
  7. 박현정, "무용수의 정서표현성 본질에 관한 경험적 탐색", 대한무용학회지, 제57권, pp.102-118, 2008.
  8. 이진효, 이지연, 김현남, "무용영재성 구성요인 및 평기기준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지, 제9권, 제2 호, pp.77-94, 2011.
  9. 김대권, 배귀영, "우수발레무용수의 형태학적 특성 및 비율", 경남체육연구, 제9권, pp.79-90, 2004.
  10. 조주연, "발레 영재성 구성요인의 탐색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5-31, 2007.
  11. S. J. Parnes, "Visionizing: State of the art processes for encouraging innovative excellene," East Aurora, NY: K.O.K, 1989.
  12. 원영실, "음악(국악) 영재 판별을 위한 부모관찰 정보지의 문항개발 및 적용", 음악교육연구학회지, 제40권, 제1호, pp.241-273, 2011.
  13. L. M. Tenman and M. H. Odenm,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5." The Gifted group at midlife: Thirty-five years'follow-up of a superior group.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9.
  14. 유진, 정꽃님, "무용 열정의 이원론적 모형분석", 한국스프초심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63-175, 2008.
  15. 조영주, 정유영, 이강헌, "무용수행의 심리적 요인 탐색", 무용예술학연구, 제21권, pp.151-174, 2007.
  16. 전은진, "무용동작 기술성의 구성요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안영진, "종일제 유아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 프로젝트 스펙트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0권, 제2호, pp.5-3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