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on Stress on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및 문화변용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10.11
  • Accepted : 2012.11.1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185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y to measure the level of their social capital and their acculturation stress and examined how it affects them to adapt to school.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fter measuring the social capital level of those surveyed, their average was lower than the normal level, showing 2.24(SD=.32), and their acculturation stress showed 2.54(SD=.58), a bit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Second, their level of adapting to school showed 2.26(SD=.39), which was lower than the normal level, and there was statistically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ir grade, academic level, economic level, parents' marital status, mother's Korean ability.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ed in adapting to school were in the order of their network of social capital(${\beta}$=.225), mother's Korean ability(${\beta}$=.195), acculturation stress(${\beta}$=-.175), interpersonal trust of social capital(${\beta}$=.171), norm of social capital(${\beta}$=.161), parents' marital status(${\beta}$=.156), academic level(${\beta}$=.151), economic level(${\beta}$=.145).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 ways to promote trust building among people and network formation through active us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y developing and using various cont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 185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적 자본과 문화변용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이것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사회적 자본수준을 측정한 결과 그 평균이 2.24(SD=.32)로 나타나 보통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들의 문화변용스트레스는 2.54(SD=.58)로 나타나 보통수준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학교적응 수준은 2.26(SD=.39)로 조사되어 보통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학업수준, 경제수준, 동거부모 형태, 모 한국어 능력 등에 따라 학교적응은 집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beta}$=.225), 모 한국어 능력(${\beta}$=.195), 문화변용스트레스(${\beta}$=-.175), 사회적 자본의 대인신뢰(${\beta}$=.171) 및 규범(${\beta}$=.161), 동거부모 형태(${\beta}$=.156), 학업수준(${\beta}$=.151), 경제수준(${\beta}$=.145) 등의 순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정보통신의 적극적으로 활용으로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교류를 유도하고 대인간의 신뢰구축 및 네트워크 형성을 도모하며,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용하여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하는 등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