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between Each Requirement for Radiation Safety Regulation Levels

방사선안전규제 요건별 인식도 차이

  • Received : 2012.11.13
  • Accepted : 2012.12.17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makes differentiated regulations which can maximize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by deriving evidence required to establish reasonable safety regulatory structur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s of actual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for radiation safety managers to perform radiation safety. We surveyed approximately 10% of radiation safety managers from domestic radiation-using organizations which was based on the Nuclear Safety Act and NUREG Vol. 1~21 of RS-G-1.9 (2005), NRC of IAEA, etc. The radiation safety manag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on the requirements for exposure management ($3.32{\pm}0.910$), and the lowest level on the requirements for record keeping and storage of documents ($2.84{\pm}0.826$). Industrial organizations showed higher levels of awareness than medical organizations whose regulations should be more stringent on requirements of the status and management of radioactive sources, facilities, measurements, pollution control, measuring equipment, monitor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exposure management. This suggests that the actual regulations need to be re-evaluated because it is attributed to the regulation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levels of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between industrial organizations and medical organizations. The process of developing regulatory requirements for each characteristic of domestic organizations needs to be done in future studies, as well as safety regulations to maximize convenience should be achieved if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are conducted in consider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rganization.

방사선안전을 수행하는 방사선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실제적인 방사선안전규제 수준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안전규제 제도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도출함으로써 방사선안전규제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별화된 규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IAEA의 RS-G-1.9 (2005), NRC의 NUREG Vol. 1~21 등과 국내 원자력안전법의 내용을 근거로 전체 약 10%에 해당되는 방사선이용기관의 방사선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피폭관리에 대한 요건($3.32{\pm}0.910$)이 가장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냈고, 관련 서류의 기록, 비치, 보관에 대한 요건($2.84{\pm}0.826$)은 가장 낮은 인식수준을 나타냈다. 방사선원 현황 및 관리 요건, 시설 요건, 측정 및 오염관리 요건, 측정 장비 및 감시기 작동 요건, 교육 및 훈련 요건, 피폭관리 요건에서 산업기관이 의료기관보다 규제가 더 엄격해야 한다는 인식수준을 나타냈다. 방사선안전규제 수준이 산업기관과 의료기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은 규제관련 그 원인이 존재하는 것이므로 실제적인 규제내용을 재평가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 기관특성별로 규제요건을 개발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기관특성을 고려하여 방사선안전규제를 수행한다면 편의성을 극대화한 안전규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선 안전규제기술개발, 교육과학기술부, 최종연구보고서 KINS/GR-380, 1∼2, 2007.
  2.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선 안전규제기술개발, 과학기술부, 최종연구보고서 KINS/GR-296, 2005.
  3. 원자력안전위원회,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원자력안전연감 2011. 원자력안전위원회 안전정책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기획팀, 265- 267, 2012.
  4. NRC, Consolidated guidance about material licenses. NUREG-1556 Vol. 7. 1999.
  5. 한국동위원소협회, 국가 방사선안전성 및 이용기반 확충을 위한 방사선안전교육.훈련제도 개선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MONO1201029180, 6-12, 2010.

Cited by

  1. 우리나라의 방사선작업종사자, 생활주변방사선, 환경방사선 등에 대한 융합적 관점의 안전 현황 고찰 vol.9, pp.5,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5.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