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edy < The Wedding Day >'s Stage Costume Design - Focused on the Comedy -

희극 <시집가는 날>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희극성을 중심으로-

  • 이혜주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정삼호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10.10
  • Accepted : 2012.01.05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analysis of that appears in the comedy . It also aims to propose conceptual and analytical costume designs that emphasize the formal aspects of play by reflecting on the comical elements simultaneously. ,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played on November 12, 2009 at the Small Theater (Dalohreum Theater) in the National Theater as a celebration of the 40th anniversary of Suwon Women's College. The costumes were designed by this researcher and were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the Creative Performances Research Institute (Suwon Women's College). The comic elements were categorized into deconstruction, deviation and unexpectednes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the humorous nature of comedy, and their aesthetic meanings were applied to the costumes. The designs that reflect the comic elements are as follows. The costume design reflecting deconstruction is a way that disassembles and recombines constructive aspects of clothing. It consists of seam margins outside or just left disassembled without sewing, dismantling the boundary of outerwear and underwear. The costume design reflects deviation because reformed shapes of collars, the variation of length and closure of skirts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style. These are designed by distorting traditional designs with deviation and transcend of tradition. The costume designs the reflect unexpectedness integrates both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and use materials of diversity and heterogeneity, and these are composed of external formats the result from incongruity. Because comic elements are metaphysical concepts that carry meanings that are difficult to define according to the country and period, it is required to analyze, organize and utilize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ach period. Since this study analyzed the comical elements of a play and applied them to costume design, it is hoped that a follow-up study of analytical costume design is be done, and that more diverse and more creative costume designs are in the next generation.

Keywords

References

  1. 최유진, 김희은 (2010), 오페라 라보엠의 무대의상 연구-보엠의 스타일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4(7), pp. 1065-1077. https://doi.org/10.5850/JKSCT.2010.34.7.1065
  2. 김지연, 노윤선 (2008), 뮤지컬'겨울이야기'의 무대의상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8(2), pp. 111-124.
  3. 변지현, 조진숙 (2007), 오페라 '파우스트'의 무대의상 디자인, 한국의류학회지, 57(3), pp. 90-107.
  4. 임정미, 이종훈, 범서은 (2009), 창작뮤지컬 '이것의 나의 운명인 것을...'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2), pp. 193-199.
  5. 한옥근 (1996), 한국 고전극 연구, 서울: 국학 자료원, p. 120.
  6. 이계창 (2005), 뮤지컬에 나타난 희극성 고찰 : 뮤지컬 시카고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24.
  7. 류종영 (2007), 웃음의 미학, 서울: 유로서적, p. 15.
  8. 김미영 (2008), 역사 : 웃음과 희극적인 것, 그리고 음악적 희극성: 18-19세기 음악에서의 의미변화를 중심으로, 음악 이론 연구, 13, p. 13.
  9. 이계창 (2005), 뮤지컬에 나타난 희극성 고찰 : 뮤지컬 시카고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26.
  10. Immanuel Kant (1790), Kritik der Urteilskraft, 이윤석 역 (1974), 판단력과 비판, 서울: 박영사, p. 218.
  11. 류종영 (2007), 웃음의 미학, 서울: 유로, p. 81.
  12. 김미영 (2008), 역사 : 웃음과 희극적인 것, 그리고 음악적 희극성: 18-19세기 음악에서의 의미변화를 중심으로, 음악 이론 연구, 13, p. 14.
  13. 이계창 (2005), 뮤지컬에 나타난 희극성 고찰 : 뮤지컬 시카고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28.
  14. 류종영 (2007), 웃음의 미학, 서울: 유로서적, p. 31.
  15. 김은실, 배수정 (2000), 장폴골티에의 작품에 나타난 해체주의 양식의 고찰, 가정과학연구, 10, pp. 61-62.
  16. 손영미, 이수현 (2004), 플리츠 기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복식, 54(6), pp. 157-158.
  17. 김현미 (2000), 현대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메이크업 특성,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18. 고현진, 김민자 (1995), 현대패션에 나타난 패러디에 관한 연구, 복식, 25, p. 251.
  19. 이광래 (1992),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서울: 교보문고, p. 56.
  20. 박진실 (2007), 일탈성 체험이 축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21. Harvey Cox (1966), The Feast of Fool, 김천배 역 (1997), 바보제, 서울: 현대사상사, p. 24.
  22. 정일권 (2004), 가면극에 나타난 희극성 고찰, 한국연극연구, 7, pp. 47-48.
  23. 이지선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앵그로마니아 특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2.
  24. 임효빈, 고현진 (2011), 감성소비 시대의 펀 패션 디자인, 복식, 61(5), p. 97.
  25. 박규원, 이서현 (2008), 패키지디자인에 표현된 의외성이 소비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브랜드디자인학 연구, 6(2), p. 5.
  26. 신영미 (2004), 예술 의상에 표현된 유머 이미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8.
  27. 황경혜 (2001), 현대패션에 나타난 유희적 빈티지,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2-33.
  28. 정우숙 (1990), 이근삼 희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29. 이형직 (2005), 맹진사댁 경사에 나타난 희극성,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30. 유송옥, 이은영, 황성진 (1996), 복식문화, 서울: 교문사, p. 53.
  31.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편 (2001), 우리 옷 이천 년, 서울: 미술문화, p. 104.
  32.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편 (2001), 우리 옷 이천 년, 서울: 미술문화, p. 105.
  33.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편 (2001), 우리 옷 이천 년, 서울: 미술문화, p. 110.
  34. 조효순 (1998), 조선조 풍속화에 나타난 여자의 기본 복식 연구(1), 한복문화, 1(2), p. 21.
  35. 유송옥, 이은영, 황성진 (1996), 복식문화, 서울: 교문사, p. 58.
  36. 도주연, 권영숙 (2000), 조선시대 남자복식에 표현된 선의 미, 복식문화연구, 8(4), p. 531.
  37. 자료검색일 2011. 10. 6, http://cafe.naver.com/artist03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48
  38. 자료검색일 2011. 10. 6,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39. 자료검색일 2011. 10. 6, http://blog.naver.com/csn6110?Redirect=Log&logNo=90012639731
  40. 자료검색일 2011. 10. 6, http://www.fnn.co.kr/content.asp?aid=04a5968af85b49599f09cacd3972d3c3
  41. 자료검색일 2011. 10. 6, http://blog.naver.com/nameju4?Redirect=Log&logNo=118475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