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s in the Pleat of Western Costume Before the 20th Century - Focusing on Men's Costume -

20세기 이전 서양복식사에 나타난 주름의 조형성 - 남성복을 중심으로 -

  • 김주경 (우송정보대학 뷰티디자인계열) ;
  • 금기숙 (홍익대학교 섬유미술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1.09.09
  • Accepted : 2012.02.01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reconsider pleat, which was undermined as something too simple to express the details for women's costume, by focusing on the aesthetic value of plea in men's costumes in the west before the 20th century. Furthermore, based on the aesthetic value of the pleat, diverse studies on contemporary men's costumes shall help to attempt to set up a basis for the new mode of men's costume. The pleat, a component in the costume since the ancient times, had unique characteristics including functionality, a sense of volume, directing effect that is caused by line repetitions and formativeness that results through elasticity. First, the aesthetics of the pleat before the 20th century shows rhythmic sense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pleat line as shown in the drape type costume, and it also shows a sense of volume as the pleat is moved along the motion of the body. Second, it shows functionality as the expansion of space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motion of body sets up an internal space of the costume that facilitates body motion. Third, the pleat extends two dimension space into three dimension space using its elasticity. It exaggerates specific parts of the costume while ignoring body shape in order to symbolize status and authority of men. Fourth, it unifies the costume by wrapping the body by using quadrangle cloths with drapers, and expanding the silhouette with the pleat artificially to conceal the physical character and personality of the wearer. The physical character of the wearer disappears into the space made by the pleat. The pleat reveals the voluptuous beauty within.

Keywords

References

  1. Payne, B., History of costume, 이종남 역 (1988), 복식의 역사, 서울: 까치, p. 23.
  2. 정흥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제 2개정판), 서울: 교문사, p. 15.
  3. 박영자, 유호순 (1989),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경춘사, p. 40.
  4. 김민자 외 (2010), 서양패션 멀티콘텐츠, 파주: 교문사, p. 77.
  5. 정흥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제 2개정판), 서울: 교문사, p. 66.
  6. 고경남 (2006), 주름의 조형성을 이용한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7. 신상옥 (1992),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 64
  8. 이정옥 외 (1999), 서양복식사, 서울: 형설출판사, p. 79.
  9. Payne, B., History of costume, 이종남 역 (1988), 복식의 역사, 서울: 까치, p. 79.
  10. 자료검색일 2011. 2. 25, http://blog.naver.com/unesco114
  11. 이정옥 외 (1999), 서양복식사, 서울: 형설출판사, p. 139.
  12.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 129.
  13. Boucher, F. (2002), 2000 years of fashion, p. 178.
  14. Black, J. Anderson, Garland, Madge, History of fashion, 윤길순 역 (1997), 세계패션사 1, 서울: 자작아카데미, p. 149.
  15. 이정옥 외 (1999), 서양복식사, 서울: 형설출판사, p. 142
  16. 이정옥 외 (1999), 서양복식사, 서울: 형설출판사, p. 155
  17. 자료검색일 2011. 2. 25, http://www.palatine.ac.uk
  18.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 161.
  19. Black, J. Anderson, Garland, Madge, History of fashion, 윤길순 역 (1997), 세계패션사 1, 서울: 자작아카데미, p. 173
  20.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 150.
  21. Payne, B., History of costume, 이종남 역 (1988), 복식의 역사, 서울: 까치, p. 126.
  22. 우정임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남성 스커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
  23. 김현숙 (1995), 무대의상 디자인 세계, 서울: 고려원, p. 347.
  24. 자료검색일 2011. 3. 25, http://collections.vam.ac.uk/item/O13923/formal-ensemble/
  25.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 229.
  26.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p. 232-233.
  27.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 233.
  28. Payne, B., History of costume, 이종남 역 (1988), 복식의 역사, 서울: 까치, p. 45.
  29. 고경남 (2006), 주름의 조형성을 이용한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30. 유송옥, 이은영, 황성진 (1998), 복식문화, 서울: 교문사, p. 118.
  31. 김현숙 (1995), 무대의상 디자인 세계, 서울: 고려원, p. 201.
  32. 김민자 외 (2010), 서양패션 멀티콘텐츠, 파주: 교문사, p. 104.
  33. 김민자 외 (2010), 서양패션 멀티콘텐츠, 파주: 교문사, p. 149.
  34. 김민자 외 (2010), 서양패션 멀티콘텐츠, 파주: 교문사, p. 148.
  35. 송성은 (2004), 학위복의 상징성을 통해본 복식의 사회적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33.
  36. 정흥숙 (1981), 서양복식사, 서울: 교문사, p. 63.
  37. 고경남 (2006), 주름의 조형성을 이용한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5.
  38. 이유경, op. cit., p. 12.
  39. 최경진 (1991), 한복의 주름에 관한 연구, 복식, 16, p. 81.
  40. 양희경, 양숙희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주름의 조형성 연구, 복식, 57(1), p. 141.
  41. Black, J. Anderson, Garland, Madge, History of fashion, 윤길순 역 (1997), 세계패션사 1, 서울: 자작아카데미, p. 12.
  42. Black, J. Anderson, Garland, Madge, History of fashion, 윤길순 역 (1997), 세계패션사 1, 서울: 자작아카데미, p. 173.
  43. Payne, B., History of costume, 이종남 역 (1988), 복식의 역사, 서울: 까치, p. 177.

Cited by

  1. 자연의 주름 특성을 활용한 남성 재킷 디자인 vol.28, pp.6, 2012, https://doi.org/10.29049/rjcc.2020.28.6.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