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식 창조 플랫폼으로서의 소셜미디어 관리모델 설계를 위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anagement Framework of Social Media as Knowledge Creation Platform

  • 발행 : 2012.12.30

초록

소셜미디어(Social Media)는 최근 집단지성 형성의 새로운 매체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함의를 규명하고 그에 근거하여 지식 창조 플랫폼(Knowledge Creation Platform)으로서의 소셜미디어 관리를 위한 개념적 틀을 탐색 차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보 소통은 문자 그대로 범사회적 영향을 끼치는 공공성이 강하기 때문에 민간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를 비롯한 각급 공공기관에서도 홍보,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 등 다양한 용도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Big Data) 시대와 맞물리면서 소셜미디어가 사회적 지식창조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열고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소셜미디어 관리를 위한 개념적 틀은 향후 지식창조 플랫폼으로서의 소셜미디어 관리모델을 구체화하는데 중요한 단서와 기본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uch attention is being paid to social media because of their potentials to draw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is context does this study attempt to draw some implications of social media as knowledge creation platform and suggest a conceptual framework of social media management. Information sharing among the public through social media literally produces profound influence throughout the society and thus not only business firms but all levels of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government are seeking to take its advantage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ublic relations, crowd sourcing, etc. Especially considering that social media open the possibility of social knowledge creation platform in the Big Data era, this study is perhaps able to contribute to further development of social media management model together with a series of measuring index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종원(2010). 미디어의 진화가 경제지도를 바꾼다, 서울: 새빛에듀넷, pp.13-18.
  2. 김상욱(2012). 사람중심 서비스 관리모델 개발과 ICT 현황 분석,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2-06-0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3. 박성호(2005). "여론형성공간으로서의 인터넷 자유 게시판의 저널리즘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3).
  4. 정지혜(2012). 높아진 여론 쏠림의 파고, 신뢰로 쌓은 탑은 잠기지 않는다. LG Business Insight, LG 경제연구원.
  5. Gettier, Edmund L.(1963).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Analysis, Vol. 23. pp.121- 123. https://doi.org/10.1093/analys/23.6.121
  6. Habermas, J.(1962).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NYU Press.
  7. Levy P.(1997). Collective Intelligence, Arizona: Basic Books.
  8. Nonaka, Ikujiro and Noboru Konno(1998). "The Concept of Ba: Building a Foundation for Knowledge Cre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3), pp.40-54. https://doi.org/10.2307/41165942
  9. Spears, R., Lea, M. and Lee, S.(1990) "Deindividualization and group-populariza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9(2). pp.121 -134. https://doi.org/10.1111/j.2044-8309.1990.tb00893.x
  10. Sunstein, C.R.(2009). On Rumors: How Falsehoods spread, Why we believe them, what can be done. New York: Farrar, Straus and Girou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