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Urban Parks Management in the Busan City - Focusing on the Main Agent of Management -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관리주체측면을 중심으로 -

  • Kim, Yeong-Ha (Busan Development Institute) ;
  • An, Yang-Wook (Dept. of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
  • Park, Seung-Bur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 김영하 (부산발전연구원) ;
  • 안양욱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조경학과) ;
  • 박승범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2.08.10
  • Accepted : 2012.10.22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ain agent of management in the 69 recently constructed neighborhood parks in Busan, and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 main agents. For this purpose, the work resources on park and landscape management, interview to related staff, and the budget on urban parks were found as the main agents of management. In case the parks were managed by consignment or by other separate organization, this study collected resources through the homepage or personal visits. As a result for the management method on parks, about 48 parks(69.6%) were under direct management by the local governments' main office and its business offices. Eighteen parks(26.1%) were commissioned to corporation or private organizations and three parks(4.3%) were operated by both direct and commissioned management. Because of the overall management result on urban parks, the company under outsourced management is not sufficient for a comprehensive management. Such is mainly focused on the maintenance like landscape or cleaning, but have fewer programs for the users. Forty-six parks cared by the local governments are mainly small sized neighborhood parks. For the management, contract workers or short-term workers are hired. It demonstrates an urgent need to improve professional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park management. In addition, any educational or cultural facility in the park is managed by separate institutions. Thus, it is not controlled as a park facility but an independent facility with separate controls. Moreover, to solve such problems, it needs legalization on the proper employment for parks, institutional improvement, cooperative network with NGO,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customer oriented program management.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조성 완료된 근린공원 69개소를 대상으로 관리하는 운영주체에 대한 파악과 그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원녹지 관련 업무자료 및 담당자와 면담, 그리고 도시공원의 예산편성 자료를 바탕으로 관리주체를 조사하였으며, 위탁관리 및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되는 경우는 홈페이지 및 직접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공원의 관리방식은 자치단체의 본청과 사업소에서 직영관리가 48개소(69.6%), 공단 및 민간단체에 위탁관리가 18개소(26.1%), 직영관리와 위탁관리를 병행하는 혼합관리가 3개소(4.3%)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도시공원의 관리 실태를 종합분석한 결과, 위탁관리하고 있는 공원은 공원의 총괄 관리가 미약하며, 공원관리가 조경 및 청소 등의 유지관리 위주로 관리되어 이용자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리되고 있는 총 46개소의 공원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근린공원이며, 공원의 유지관리를 위해 무기계약직 근로자 및 기간제근로자를 고용하여 관리하고 있어, 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및 조직체계가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원 내 교양시설은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어, 공원 내 공원시설이 아닌 독립된 교양시설로서 공원관리와 분리된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해결 방안으로는 공원의 적정인원 고용에 대한 법제화 및 제도적 개선, 시민단체와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시대변화에 따른 이용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과 더불어 이용객 위주의 프로그램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11)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pp. 243.
  2. 김동필, 이기철(1996) 도시공원의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4): 1-11.
  3. 김동필, 이기철(1997a) 도시공원의 관리정책에 대한 관리주체의 의식과 현황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5(1): 59-67.
  4. 김동필, 이기철(1997b) 도시공원 관리의 만족요인 및 예측모형 분석. 국토계획 32(3): 229-237.
  5. 김영식(1996) 도시공원관리의 문제와 개선방안. 도시문제 31(336): 87-93.
  6. 김용국, 한소영, 조경진(2011)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방 식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3): 83-97.
  7. 김용근, 조중현, 박태희(2003)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서 주민의 참여의식에 관한 연구:초안산근린공원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87-295.
  8. 김용수, 잣 카펜터, 이기철(1989) 도시공원에 있어서 유지관리를 고려한 계획 및 설계 방법론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17(1): 29-42.
  9. 김평, 동재욱(2004) 지방도시의 공원녹지관리 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경기도 의정부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9(2): 7-18.
  10. 김효정, 조중현, 강은지(2010) 도시공원 특성에 따른 관리유형의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8(5): 21-30.
  11. 박율진, 김동찬(1996a) 공원녹지관리 운영실태 및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 정책역할측면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1(3): 125-141.
  12. 박율진, 김동찬(1996b) 공원녹지 운영실태 및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조직구조측면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1(6): 147-159.
  13. 부산광역시(2010) 도시공원․유원지 현황. 환경녹지국 녹지정책과.
  14. 석인수(1998) 도시공원의 실태와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방안:전북지방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지 46(3): 35-40.
  15. 송규성, 김세천(2005) 도시공원관리를 위한 GIS프로그램 구축에 관한 연구:전주시 덕진공원 내 호수공원을 중심으로. 농업생명과학연구 36: 143-153.
  16. 이은엽, 명현(2008) 도시공원 정비 및 관리의 다양한 수법에 관한 연구: 일본사례를 중심으로. 녹지환경학회지 4(2): 34-39.
  17. 최선주, 황원실, 김선희, 박창석(2011) 서울숲 공원관리조직의 사회 연결 망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3): 74-82.
  18. 홍성권(1995)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이용한 도시공원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어린이대공원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3(3): 94-105.
  19. 金子忠一(1999) 公園の多様化と公園運営の多面性. ランドスケープ研究 63(2): 91-93.
  20. 金子忠一(2002) パークマネージメントの理論的枠組みの構築を目指して. ランドスケープ研究65(4): 306-313.
  21. 金子忠一(2003) パークマネージメントの理論的構築に向けて(その2) : 公園経営とユーザーサービスの原点からの考察. ランドスケープ研究66(4): 302-307.
  22. 金子忠一(2004) 公園の管理運營のサービス水準を考える--評価の指標と視点. 公園緑地64(6): 10-14.
  23. 金子忠一(2006) 総合化.複合化する公園管理とランドスケープ.マネー ジメント技術. ランドスケープ研究69(4): 266-269.
  24. 上原敬二(1923) 都市計畵と公園. 林泉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