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Donggung and Wolji, Gyeongju - Centering around the Used Pattern and Damage Degree of Trail Routes -

경주 동궁과 월지의 생태적 수용력에 관한 연구 - 탐방로의 이용행태 및 손상도를 중심으로 -

  • Li, 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Kang, Ta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이홍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강태호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2.08.02
  • Accepted : 2012.11.12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In order to calculate the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Donggung and Wolji, Gyeongju, the number and time for various activities of tourists were surveyed and then the injury tolerance on lawns was predicted with seven types of variou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jury tolerance in various activities for the suitable carrying capacity, the normal carrying capacity and the limited carrying capacity were explicitly determined in four lawns.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ime for various activities, the injury tolerance of various activities was predicted in four lawns, and the highest average injury tolerance was 2.15 in walking, the lowest average injury tolerance was 0.05 in lying. The highest injury tolerance was 1.31 in lawn 4, and then the order was 0.97 in lawn 3, 0.91 in lawn1, and 0.70 in lawn 2. The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was predicted with a damaged area according to the injury tolerance of various activities. The suitable carrying capacity was done separately to 40 persons, 249 persons, 107 persons, 37 persons, the limited carrying capacity was 116, 713, 306, 107 respectively and the normal carrying capacity was 75, 463, 198, 69 in four lawns. When managed in Donggung and Wolji, Gyeongju, the number of tourists was under the limited carrying capacity, the conformation would grow better.

경주 동궁과 월지의 생태적 수용력 연구를 위해 유적지내에서 관찰되어지는 7가지 이용행태에 따른 이용구간별 녹지 평균손상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탐방객 이용행태의 이용인수 및 이용시간을 조사하고 손상도를 산정하였다. 각 이용행태별 손상도를 통하여 4가지 조사구의 적정수용력, 표준수용력과 한계수용력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각 조사구의 이용행태별 이용인수 및 이용시간에 따른 손상도를 산정한 결과, '걷다'의 경우 평균 2.15로 가장 높았고, '눕다'의 경우 0.05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조사구의 손상도는 조사구 4가 1.31로 가장 높았고, 조사구 3이 0.97, 조사구 1이 0.91, 조사구 2가 0.70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구의 손상면적을 산정 후에 생태적 수용력을 추정한 결과, 조사구1, 2, 3, 4의 적정수용력은 각각 40인, 249인, 107인, 37인, 한계수용력은 각각 116인, 713인, 306인, 107인, 표준수용력은 각각 75인, 463인, 198인, 69인으로 추정된다. 경주 동궁과 월지의 바람직한 관리를 위한 최대의 생태적 수용력은 한계수용력 이하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7) 국립공원 수용력 관리시스템 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2. 김선희(2005) 관광지의 적정 수용력 산정과 관리 방안 연구: 광릉지역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0(3): 321-334.
  3. 김창수, 김의근(1995) 관광지의 적정수용력 측정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ourism Systems and Quality Management 1(2, 3, 4): 41-58.
  4. 박지나, 이승곤, 이후석(2009) 혼잡지각에 따른 방문객 만족과 자연휴양 시설의 사회심리적 수용력 추정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3(6): 93-110.
  5. 신원섭, 권헌교, 한상열(2007) 국립공원 탐방집중도 분석 및 사회․심리적 수용력 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2): 43-50.
  6. 엄붕훈(1992) 공원녹지공간의 레크레이션 수용력에 관한 연구(II): 녹지공간의 이용행태 분석 및 생태적 수용력의 추정. 한국조경학회지 20(2): 1-17.
  7. 오규식, 정연우, 이동근, 이왕기(2002)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달성하기 위한 통합적 도시 수용력 평가체계 수립. 국토계획 37(5): 7-26.
  8. 조현길(1989) 산악형 국립공원 야영장의 수용력 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近藤三雄(1980) 芝生地の收容力に關する基礎的研究(III): 利用者の行動 なちひ"に芝生地の損傷度に基つ"く收容力の算定についそ. 造園雜誌43(4): 3-11.
  10. Canestrelli, E. and P. Costa(1991) Tourist carrying capacity: A fuzzy approa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18: 295-311. https://doi.org/10.1016/0160-7383(91)90010-9
  11. Godschalk, D. R. and F. H. Parker(1975) Carrying capacity: A key to environmental planning?.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30(4): 160-165.

Cited by

  1. Normative Standards on Number of Users, Perceived Conflict, and Perceived Interference of Healing Experience by Types of Visitors at ʹHealing Fieldʹ of ʹ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ʹ vol.32, pp.2, 2018, https://doi.org/10.13047/KJEE.2018.32.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