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Landscape Cognition in Yong-In City

용인시에 대한 경관인식 변화 비교

  • Joo, Shin-Ha (Dept. of Horticulture, Biotechnology &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Women's University) ;
  • Kim, Gyung-In (V.I. Land Co., Ltd.)
  • 주신하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
  • 김경인 ((주)브이아이랜드)
  • Received : 2012.08.10
  • Accepted : 2012.09.14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made in the landscape cognition in Yong-in City for the past 10 years. For the analysis, the landscape plan in 2001, and the survey data collected for the new 2012-landscape plan were used. The questions on the survey covered the cognition of the current landscape status, the evaluation of landscape depending on the types of landscape, the understanding of each element on the landscape, the residents' cognition, etc. In the evaluation of the status on current landscape, Everland was ranked outstandingly high as a symbol and a representative place both in 2001 and 2012. The image of the overall city landscape was changed from the image of unique, diverse, grand-scale and well ordered in 2001, to the image of wide, disordered, common and realistic. As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landscape types such as the view of the mountain, the surroundings of the tourist attractions, colors, etc, has improved overall. The image of the city has been evaluated to improve gradually, especially in the level of individual element. In the study of participating the willingness of residents, despite the interest in landscape has been continued, the attitude for the actual participation in the action plan or the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 has been changed into a negative side. For the direction of the landscape plan, the residents are more interested in the detailed subjects : such as the financial support, the night landscape pla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etc. During the last 10 years, the changes on the landscape cognition in Yong-in City have changed more in detail and specifically, the cognitions on the local government and developers changed positively. However the reducion of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suggested a review on the policies and the projects of the landscape.

본 연구는 경관관련 법제도적 측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던 최근 10여 년간 경관인식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수립한 용인시 경관형성기본계획과 2012년 수립한 용인시 기본경관계획 내용 중 경관의식조사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특히 2012년 실시된 경관의식조사는 용이한 비교분석을 위해 2001년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하였다. 설문문항은 크게 경관현황에 대한 인식, 경관유형별 경관평가, 경관요소별 인식, 경관에 대한 주민의식, 경관계획방향 제시에 대한 인식, 경관관련 주체들에 대한 인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경관현황에 대한 평가에서는 용인시의 상징요소와 대표장소로 에버랜드가 압도적으로 높은 순위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는 에버랜드의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한국민속촌, 시청, 경전철과 같은 다양한 대상으로 비중이 분산되었다. 전체적인 도시경관에 대한 이미지는 2001년 '개성있고, 다양하고, 웅장하고, 정돈된' 이미지에서 2012년에는 '넓고, 어수선하고, 평범하고, 현실적인' 이미지로 변화하였다. 특히 '개성있는' 항목에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변화하여 개발 초기의 기대에 현재 이미지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의 조망, 관광지 주변, 색채 등 개별 경관유형별 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향상된 평가를 보여주고 있어서, 개별 요소 수준에서는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관요소별로는 간판 및 옥외광고물에 대해서 현재 상태가 더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경관색채 측면에서는 상업 및 광고시설에 대해서는 문제인식이 증가하였으나, 공사시설물, 공장건물 등과 같은 시설에 대해서는 문제인식이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경관과 관련한 주민참여 정도 조사에서는 경관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은 지속적으로 유지한 반면에, 재산권 제한이나 사업에 참여하는 정도 같은 실제적인 참여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계획 방향성은 과거에 비해 보다 재정지원, 야간경관 연출, 경관저해요인 개선 등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행정기관에 대해서는 과거 규제 중심의 역할에서 시민지원의 역할로 변화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졌으며, 사업시행자에 대해서도 자연훼손의 주범이라는 인식에서 건물 조성, 휴식공간이나 광장의 조성 등을 통하여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주체라는 인식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인시의 지난 10년간의 경관인식 변화는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경관을 인식하는 것으로 변화하였으며, 특히 경관관련 주체에 대해서도 보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대규모 개발사업의 초기에 형성되었던 용인시 경관에 대한 기대감이 충족되지 못하여 평범한 이미지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시민들의 직접적인 참여정도가 소극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은 지난 10여 년간의 경관관련 정책과 사업에서 재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7) 경관계획수립지침.
  2. 경기개발연구원(2000) 경기도 경관기본계획.
  3. 경기개발연구원(2001) 용인시 경관형성기본계획.
  4. 곽동윤(2005) 일본 도시경관행정에 있어서 시민참여에 관한 연구: 지바 (千葉)시의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관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3): 19-36.
  5. 김봉경, 오세경, 임재문(2009) 일본의 경관법 시행에 따른 경관행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0(1): 5-20.
  6. 김이수, 조유경, 황재훈(2006) 충청북도 경관 인식측정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6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24-36.
  7. 김포시(1999) 도시경관기본계획.
  8. 김희재, 오성웅, 류중석, 배웅규(2008) 경관기본계획의 구성내용별 국내 사례 특성분석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8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79-189.
  9. 문지원(2009) 경관법 제도에 기초한 대구광역시 도시경관계획 보완방향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7(2): 67-80.
  10. 문지원(2011) 경관계획에서의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방향 제시 연구. 국토계획 46(6): 5-19.
  11. 박은아, 윤영미, 안재락(2011) 협력적 계획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체간 갈 등및조정에관한연구-거점확산형주거환경개선사업을중심으로. 한국 도시설계학회 2011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50-65.
  12. 변재상, 김대수, 이정수(2010) 대전시 상징물과 도시 이미지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8(2): 53-63.
  13.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3)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연구 1.
  14.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a) 서울시 도시경관 기본계획(안).
  15.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b)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연구 2
  16. 손용훈, 윤문영(2011) 근교도시의 녹지경관 유형에 따른 지역주민의 경관인식. 한국조경학회지 39(5): 101-110.
  17. 용인시(2012) 용인시 기본경관계획.
  18. 윤준도, 조상규, 최윤정, 전선정 (2009)경관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에서의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9. 이경록(2008) 도시경관개선을 위한 경관위원회의 역할과 주민참여활성 화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정형, 이여경(2008) 지자체 경관시책의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경관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229-240.
  21. 장혜선, 변혜선(2009) 군지역에서의 기본경관계획 수립특성: 청원군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697-706.
  22. 장혜선, 변혜선, 황재훈(2010) 도농복합도시에서의 경관자원분석에 따른 기본경관계획 수립특성: 충주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67-176.
  23. 조유경, 공은미, 김영욱(2011) 경관제어요소에 관한 전문가집단 간 인식 차이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2): 29-39.
  24. 주신하, 김영희(2010) 경관법에 의한 경관계획 수립 현황. 한국경관학회지 2(2): 20-31.
  25. 주신하, 김영희(2011) 국내 경관계획 관련지침 및 계획내용 분석. 한국 조경학회지 39(4): 1-10.
  26. 황재훈, 류경무(2001) 청주시 성안길 상업가로의 집단별 경관인식 차이 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1): 7-22.
  27. 가와사끼시(1996) 도시경관형성 기본계획.
  28. 도쿄도 기타구(1994) 기타구 도시경관만들기 기본계획.
  29. 도쿄도(1994) 일본 도쿄도 도시경관마스터플랜.
  30. 센다이시(1997) 센다이시 경관기본계획.
  31. 지바시(1997) 지바시 도시경관디자인 기본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