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tilization of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for Effective Damage Investigation of Natural Hazard

효율적인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실시간 공중자료획득시스템의 활용성 평가

  • 정갑용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윤희천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2.08.08
  • Accepted : 2012.08.23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Recently,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enhancement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ncreases the necessity about effective technology of damage investigation in the area of disaster prevention. Quick damage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natural hazard and plan the recovery. To do this, UAV is the useful mean for quick damage investigation.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based on UAV that utilization of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for effective damage investigation of natural hazard. Accuracy analysis was implemented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this system. And utilization of damage investigat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domestic regulations that is apple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f hazard. As a result, damage investigation was possible about house, farmland, agriculture and forestry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Henceforth, it will be effectively possible to inspect damage for natural disaster and to establish restoration plan through utilization of acceptable image data by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in real various natural disaster.

최근 IT기술의 발달과 공간정보기술의 고도화는 방재분야에 있어서 효과적인 피해조사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자연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복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피해조사가 필요하며, 이러한 점에서 UAV는 신속한 피해조사를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UAV 기반 실시간 공중자료획득시스템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국내 규정을 바탕으로 재난 유형을 구분하여 재해 유형별로 시스템을 적용한 피해조사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주택피해, 농경지 및 농림시설 피해, 공공시설 피해 등의 피해조사가 가능하였다. 향후 다양한 자연재해 현장을 대상으로 실시간공중자료획득시스템을 통해 취득된 영상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연재해 피해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삼, 심재현, 손홍규, 유환희 (2006), 저고도 UAV를 이용한 자연재해 모니터링,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추계학술회의 논문집,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pp. 221-226.
  2. 김종배, 김민규, 윤희천 (2011), 효율적인 재해탐지용UAV 운용을 위한 현행 규정 개선방안,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9권, 제 5호, pp. 509-517.
  3. 장호식 (2010), 무인 헬리콥터 사진촬영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절개지 붕괴사면 3차원 입체 지형 추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8권, 제 5호, pp. 485-491.
  4. 최경아, 이지훈, 이임평 (2011), 저고도 무인 항공기 기반의 근접 실시간 공중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한국공간 정보학회지, 한국공간정보학회, 제 19권, 제 4호, pp. 21-31.
  5. 홍주석, 최경아, 이임평, 오태완 (2008), UAV 기반의 실시간 공중모니터링을 위한 멀티센서 시스템 설계, 한국GIS학회 춘.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GIS학회, pp. 322-324.
  6. Anmed, A., Nagai, M., Tianen, C. and Shibasaki, R. (2008), UAV Based Monitoring System and Object Detection Technique Development for a Disaster Area, Proceedings of ISPRS, ISPRS, pp. 373-377.
  7. Nagai, M., Chen, T., Ahmed, A. and Shibasaki, R. (2008), UAV Borne Mapping by Multi Sensor Integration, Proceedings of IPSRS, ISPRS, pp. 1215-1221.
  8. Zhou, G., Li, C. and Cheng, P. (2005), Unmanned Aerial Vehicle (UAV) Real-time Video Registration for Forest Fire Monitoring, Proceedings of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IGARSS, pp. 1803-1806.

Cited by

  1. Assess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Management of Disaster Information vol.16, pp.1,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5.16.1.697
  2. 선형정보의 연관분석을 통한 드론영상의 영상등록 vol.35, pp.6,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7.35.6.441
  3. 선형과 특징점을 이용한 연속적인 드론영상의 자동기하보정 vol.37, pp.1, 2019, https://doi.org/10.7848/ksgpc.2019.37.1.19
  4. UAV를 활용한 건물철거 지역 변화탐지 vol.35, pp.5, 2012, https://doi.org/10.7780/kjrs.2019.35.5.2.6
  5. 산악지형에서의 재난피해조사를 위한 드론 맵핑 활용방안 연구 vol.36, pp.5, 2020, https://doi.org/10.7780/kjrs.2020.36.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