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evance Analysis between 4 Body Type through 5 Part Measuring and Ordinary Symptoms

5부위 측정에 의한 사체형과 소증(素證)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연구

  • Choi, Yong-Seok (Dep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Moon, Goo (Dep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Baek, Dong-Gi (Dep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Suncheon Oriental Medicine hospital, Won-Kwang University)
  • 최용석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문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백동기 (원광대학교 순천한방병원 한방내과)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diet, digestion, sweat, feces and urin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ody shape characteristic. Methods : 1,30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4 body types and were assess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bout Sasang constitution's ordinary symptoms such as diet, digestion, sweat, feces and urination characteristics. Results : Hyeong-keum type had a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ize of their meal and speed of taking meal. Hyeong-keum type got the most in the amount of sweating. And Yo-wi type reported the greatest urinary frequency. Conclusions : The difference of body type influences Sasang constitution's ordinary symptoms such as diet, sweat and urination. In digestion and fece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Keywords

References

  1.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개정증보사상 의학. 서울: 집문당; 2006, p. 97-8.
  2. 설유경, 이의주, 김규곤, 김종원. IBS-2000보정기 기를 이용한 체형측정방법에 따른 사상체질 진단정확률 비교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7;19(1): 78-89.
  3. 송일병, 홍석철. 東醫壽世保元의 四焦說에 對한 考察. 사상체질학회지 2006;6(1):138-151.
  4. 허만회, 고병희, 송일병. 체간 측정법에 의한 체질판별. 사상체질학회지 2002;14(1):51-6.
  5. 홍석철, 이수경, 이의주, 한기환, 조용진, 최창석 등. 체간부의 사상체질별 형태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8;10(1):101-14.
  6. 이수경, 송일병. 東醫壽世保元 太少陰陽人의 病證論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9;11(2): 1-26.
  7. 김종원, 전수형, 설유경, 김규곤, 이의주. 신체계 측법을 이용한 사상체질별 성별 체형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6;18(1):54-61.
  8. 김종원, 김규곤, 이의주, 이용태. 신체계측법에 의한 사상체질별 체형기상 연구1.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1):268-72.
  9. 이수경, 이의주, 홍석철, 고병희. 신체계측 및 검사소견을 중심으로 한 사상인의 특징에 대한 분석. 사상체질의학회지 1996;8(1):349-76.
  10. 이의주, 이재구, 김정연, 송정모. 한국인 신체분절에 관한 사상의학적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8;10(1):143-60.
  11. 장은수, 김호석, 유종향, 백영화, 오승윤, 이시우. 완실무병 지표들의 사상체질별 건강수준 연관성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8;20(2):43-52.
  12. 김구, 오승윤, 주종천, 장은수, 이시우. 20대와 60대에서 사상체질 완실무병 지표 소화 대변 땀 소변의 특징 비교. 사상체질의학회지 2010; 22(2):70-81.
  13. 김수범, 송일병. 요통환자의 사상의학적 사초와 이목구비를 중심으로 한 체열 분석. 사상체질의학회지 1996;8(1):377-93.
  14. 김종원, 고병희, 송일병. 사상의학의 장부론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1990;2(1):87-102.
  15. 여혜린, 김규곤, 이명희, 박윤창, 전수형, 권석동, 등. 비만도에 따른 사상체질별 체형 특성 분석. 사상체질의학회지 2008;20(1):89-99.
  16. 이문호, 홍순용. 사상체질유형과 체격 및 신체 형태지수와의 비교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0; 2(1):71-85.
  17. 손은혜, 곽창규, 이의주. 사상체질별 완실무병 지표들의 임상적 유효성 분석 : Short Form-36 설문지를 이용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 16(3):25-33.
  18. 백태호, 최정락, 박성식. 소화에 대한 체질별 상관성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1):112-9.
  19. 김효정, 이혜정, 진희정, 김명근. 발한양상에 따른 건강상태의 체질별 편차에 대한 분석. 사상체질의학회지 2009;21(3):89-106.
  20. 조성규, 배효상.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東醫壽世保元甲午本, 東醫壽世保元辛丑本에 기재된 大便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2007; 19(3):10-9.
  21. 김선호, 김달래. 소변변증의 사상체질학적 관점과 상한론적 관점에 대한 비교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1992;4(1):179-86.
  22. 백태호, 최정락, 박성식. 소화에 관한 체질별 상관성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1):112-9.
  23. 최애련, 이시은, 구덕모. 사상체질별 혈중지질, 소화효소 및 갑상선 호르몬의 비교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10;22(2):60-9.
  24. 최재영. 태소음양인의 소증에 관한 임상적 연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학위논문 (박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25. 최재영, 박성식. 사상체질에 따른 대변의 특징 에 대한 임상적 검토. 사상체질의학회지 2002; 14(2):58-68
  26. 이영옥, 김종원. 사상체질에 따른 질병 및 증상 유형에 관한 임상적 연구III. 사상체질의학회지 2002;14(3):74-84.
  27. 김정주, 이영섭, 박성식. 태양소양인과 태음소음인의 수면, 대변, 소변에 관한 임상적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2005;17(3):82-90.
  28. 정원교, 김종원. 사상체질 진단법(용모, 체형, 심성)의 임상적 적용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0;12(2):3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