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latform Design for Efficient Interoperability of BIM and GIS

BIM과 GIS의 효율적인 상호운용을 위한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2.10.02
  • Accepted : 2012.12.2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Recently,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attempted to connect or integrate BIM handling construction data and GIS handling spatial data. However, it is hard to interoperate by integration between two data models because characteristics and domains of data models between BIM and GIS are very different. In this research, we propose the platform to secure efficient interoperability between BIM and GIS and define the component technologies and functions of the platform proposed in this research by analyzing the existing commercial softwares.

최근 건설데이터를 활용하는 BIM과 공간데이터를 활용하는 GIS 간의 통합 및 연계를 시도하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BIM과 GIS의 데이터모델이 서로 너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두 데이터모델 간의 통합을 통한 상호운용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과 GIS의 효율적인 상호운용성을 시스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BIM과 GIS 상호운용 플랫폼을 설계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기존의 상용 소프트웨어들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플랫폼에 필요한 요소기술과 기능들을 정의하여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uildingSmart Alliance, www.buildingsmart.org
  2. http://onuma.com/products/
  3. http://www.graphisoft.com/products/bim-explorer/
  4. http://www.germanium3d.com/
  5. http://www.vworld.kr/
  6. Hwang, J. R; Kang, T. W; Hong, C. H. 2012, A Study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FC and CityGML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Construction Data and GIS Dat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5):49-56. https://doi.org/10.12672/ksis.2012.20.5.049
  7. Kim, H. M; Son, B. H; Kim, Y. C; Hong, W. H. 2011, A Study of How to Improve of Building Waste Management Systems Using by 'BIM/GIS',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19(5):53-62.
  8. Park, I. H; Lee, J. Y. 2009, Modeling Spatial Data in a geo-DBMS using Primitive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11(3):50-54.
  9. Umit Isikdag and Sisi Zlatanova, 2010. Towards defining a framework for automatic generation of building in CityGML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s, in Lee and Zlatanova (Eds.), 3D geo-information sciences, Springer LNG&C, pp. 79-96.

Cited by

  1. BIM과 GIS 연계를 위한 실내 세밀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실내 시설물 관리 중심으로 vol.21, pp.5, 2012, https://doi.org/10.12672/ksis.2013.21.5.073
  2. 공간데이터 LOD 기반 3차원 대용량 객체의 경량화 알고리즘 연구 vol.21, pp.6, 2012, https://doi.org/10.12672/ksis.2013.21.6.001
  3. BIM에 관한 조경분야의 동향 및 LIM 활성화 방안 vol.42, pp.3, 2012, https://doi.org/10.9715/kila.2014.42.3.050
  4. GIS 기반 BIM 데이터의 효과적 가시화를 위한 공간인덱싱 기법 개발 vol.15, pp.8,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4.15.8.5333
  5. 공간자료 구축을 위한 BIM/GIS 표준정보 기반 건축도시통합모델(iBUM)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vol.22, pp.5, 2012, https://doi.org/10.12672/ksis.2014.22.5.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