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innerwear color preference among the Korea, China and Hong Kong

한국, 중국과 홍콩 성인여성의 속옷 선호색상 비교 연구

  • Cha, Sujoung (Dept. of Beauty Design, Major of Fashion, Woosong Univ.)
  • 차수정 (우송대학교 뷰티디자인학과 패션전공)
  • Received : 2012.08.20
  • Accepted : 2012.09.17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is study intend to research color preferences about innerwear(specially brassiere) and draw a comparison of color preference's differences among the Korea, China and Hong Kong. The subjects of study are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in Korea, China and Hong Kong. The data analysis was done with the statistical treatment in SPSS 14.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in Korea, China and Hong Kong are distinguished from wearing color and preference color of innerwear. Korea and China female students prefer skin color to the other color but most of Hong Kong female students prefer black color. In case of red color, Korea female students don't select a red color as a preference color but even if some students select a red color, China and Hong Kong females prefer a red color. The traditional color opinions of Korea, China and Hong Kong are the same as a Yin-Yang School. But these days they have different color opinions because of cultural, political and ideological elements. Korea females like skin and white colors because these colors don't appear on the outwear surface. Korean have an inclination toward conservatism and use the color according to ideological and deceptive orders of the Confucianism. Hong Kong have a different color preference from China because they have chances of receiving the other cultures for example United Kingdom, Japan and so on.

Keywords

References

  1. 권영걸(2005), 한중일에서 적색(Red)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NRF), p.5.
  2. 권은숙(1995), 색으로 승부하는 21세기, 웅진출판주식회사, pp.17-19.
  3. Eckman, D.M., Kadolph, S.J. (1990),"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pp.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4. B.G. Chambers(1951). Color and design, NY:Prentice Hall, p.109.
  5. 김순애(1987), "아동복의 색채와 기호색에 대한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조정미(1999), "지역특성에 따른 성인 여성의 복식색채 선호에 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19(1), pp.129-143.
  7. 반홍우.최종명(2012),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빨간색 셔츠에 대한 시각적 감성 비교", 감성과학, 15(1), pp.57-64.
  8. 은영자.박소희(1996), "20대 남녀의 의복색상 선호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4(3), pp.305-323.
  9. 배수정(2011), "중국 동북지역 다롄시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컬러트렌드 분석(제2보)", 패션비즈니스, 15(5), pp. 161-177.
  10. 최미영.심영완.신혜영(2006), "BRICs 지역 소비자 색채선호 비교", 복식, 56(5), pp.118-131.
  11. 오현아.김윤아.배수정(2012), "2010/11년 F/W 겨울 서울시와 다롄시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여성 의복색 비교 분석", 복식, 62(2), pp.103-121.
  12. 백선원(1990), "여성 의류의 색채선호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Birren, F. 김화중 역(1985),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pp.67-82.
  14. Ellis, L. & Ficek, C.(2001), "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1, pp.1375-1379.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231-2
  15. Silver, N. C., McCulley, W. L., Chambliss, L. N., Charles, C. M., Smith, A. A., Waddell, W. M., & Winfield, E. B. (1988). Sex and racial differences in color and number preferenc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6, pp.298-299.
  16. Mather, J., Stare, C., & Breinin, S. (1971). Color preferences in a geriatric population. Gerontologist, 11, pp.311-313. https://doi.org/10.1093/geront/11.4_Part_1.311
  17. Tate, F. B., & Allen, H. (1985). Color preferences and the aged individual: implications for art therapy. Arts in Psychotherapy, 12, pp.165-169. https://doi.org/10.1016/0197-4556(85)90016-4
  18. Wijk, H., Berg, S., Sivik, L., & Steen, B.(1999). Color discrimination, color naming and color preferences in 80-year old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1, pp.98-106.
  19. 김용훈(1987), 색채 상품 개발론, 청우, PP.117-149.
  20. 백선원(1990), "여성 의류의 색채선호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3-26.
  21. 장지명(1999), "감성시대의 칼라마케팅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
  22. 김관웅(1997), "중국의 조선족과 한족의 색채심리 비교연구-민족과 예술에서 색채심리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15호, pp.575-581.
  23. 오은경(1990), "한국인의 색채의미와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5-72.
  24. 백선원(1990), "여성 의류의 색채선호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0.
  25. 원혜정(2009), "국가별 선호색채와 TV세트 디자인 색채의 상호관계성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6-27.
  26. 은영자.박소희(1996), "20대 남녀의 의복색상 선호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4(3), pp.311.
  27. 이원신(2007), "한국 전통 색채를 이용한 컬러마케팅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8.
  28. 통상산업부(1996), 한국적 디자인의 응용사례 연구, 서울.통상산업부, p.251.
  29. 최미영.심영완.신혜영(2006), "BRICs 지역 소비자 색채선호 비교", 복식문화학회지, 56(5), pp.118-131.
  30. 김지영.김선아(2012), "한국.중국.일본의 현대에스닉 패션 색채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1), p.95.
  31. 김향단.유보현(2010), "중국인의 색채관과 복식에 나타난 색채의 상징과 의미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1(3), pp.105-112.
  32. 권영걸(2005), 한중일에서 적색(Red)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NRF), p.10-12.
  33. 김영철((1979), "색채응용 및 기호심리에 대한 조사 연구-대구지방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1-46.
  34. 문순만(1982), "색상의 이해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대구시내 여고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9.
  35. 이금숙(1991), "청년기의 의복색 기호와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4-37.
  36. 권영걸(2005), 한중일에서 적색(Red)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NRF), p.14-15.

Cited by

  1. Comparative Analysis of Underwear Evaluative Criteria according to Somatotypes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vol.51, pp.5, 2013, https://doi.org/10.6115/fer.2013.51.5.563
  2. A Comparative Study on Expected Benefits and Dissatisfaction Factors of Wearing a Bra among US Women over 40 Years Old vol.48, pp.None, 2012, https://doi.org/10.21326/ksdt.2015..48.025
  3. 중국 90후세대의 세대적 특성과 패션 경향 vol.25, pp.3, 2012, https://doi.org/10.12940/jfb.2021.2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