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Understanding their Major and Career Self-Efficacy on Career Indecision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 Focus on the Community College Students in Gyeongido -

패션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경기권 2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

  • 홍성순 (김포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2.07.08
  • Accepted : 2012.08.20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influence on the effect of understanding their major and career self-efficacy on career indecision of the communit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and is intended to provide useful resources o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of students through this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study, 349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were selected for the questionnaires for the understanding major,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s survey.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and this was follow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indecision factor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were extracted 5 valuables that were 'insufficiencies vocational information', 'an undeceivable character', 'the lack of self well-defined', 'the lack of needs for job' and 'external barrier for the career'. Second, the subordinate valuables of understanding major which is 'social cognition for the major', 'satisfaction on the major course', and 'satisfaction on the major skill', had positive effect on career self-efficacy. Third, understanding of major and the subordinate valuables of career self-efficacy which is 'making goal for the career', 'career information', 'career plan for the future', 'alternative searching', and 'overcoming difficulties' had negative effect on career indecision. Forth, understanding major and career self-efficacy had medicated in career indecision.

Keywords

References

  1. 이민선 外(2010), "서울지역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11), pp.1870-1871.
  2. 이영대, 장석민, 이양구, 정윤경(2000), "진로정보망 탑재용 진로정보 컨텐츠 개발 연구",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p.78-79.
  3. "중소기업 신입사원 평균 퇴사율 43%, 원인은?",(2012.03.05), 경향신문, 자료검색일 2012. 05. 03, 자료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3051208591&code=920401
  4. 설재풍(2001),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발달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2-23.
  5. 남진선(2011), "고등학생의 전공인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3-24.
  6. 송혜원(2004), "외식 조리 관련 전공 선택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pp.40-55.
  7. 임용수(1993), "전공만족도를 중심으로 본 대학생들의 진로사회화 과정에 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논문집, 9(1), pp.107-129.
  8. 김혜주(2007),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몰입경험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9-42.
  9. 장문영(2005),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귀인성향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7-29.
  10. 이민선 外(2010), "서울지역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11), pp.1873-1877.
  11. 하혜숙(2000), "대학생의 전공학과 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pp.64-71.
  12. 김정은(2007), "남.여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pp.13-14.
  13. 조성연, 문미란(2006), "성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8(4), pp.732-733.
  14. 이광자(2004), "부모지지와 고등학생 진로발달과의 관계 연구 - 일반계, 산업정보계, 실업계의 비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91-96.
  15. 김현정(2011), "진로성격유형에 따른 부모 진로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 Holland진로탐색검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3-25.
  16. 이희영(1999),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대한 부모-자녀 간의 심리적 분리 및 애착관계 역할",한국심리학회-상담 및 심리치료, 11(2), pp.255-259.
  17. 기영락(2011), "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와의 관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pp.58-61.
  18. 이학주, 이기학(2000),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2(1), pp.127-136.
  19. 김수리(2004),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1-18.
  20. 김은영(2010),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진로교육연구, 23(1), pp.81-82.
  21. 이지영(2004), "진로미결정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으로서의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성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5-38.
  22. 탁진국, 이기학(2001),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탐색적 연구", 디지털경영연구, 1(1), pp.172-177.
  23. 김은영(2010),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진로교육연구, 23(1), pp.83-84
  24. 남진선(2011), "고등학생의 전공인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6-50.
  25. 탁진국, 이기학(2001),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탐색적 연구", 디지털경영연구, 1(1), pp.167-180.
  26. 남진선(2011), "고등학생의 전공인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6-48.
  27. 장문영(2005),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귀인성향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7-37.
  28. 이민선 外(2010), "서울지역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11), pp.1876-1878.
  29. 송지준(2011),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pp.180-189.

Cited by

  1.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areer Recognition of the Undergraduates vol.16, pp.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651
  2. 미용전공 대학생의 팔로워십 유형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vol.21, pp.5, 2012, https://doi.org/10.12940/jfb.2017.21.5.122
  3.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정체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vol.22, pp.4, 2012, https://doi.org/10.12940/jfb.2018.22.4.145
  4. 전문대학 패션 전공 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vol.21, pp.4, 2012, https://doi.org/10.30751/kfcda.2019.2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