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ditional Color of Women's Hanbok on the Relics in Modern Korea

근대 유물을 통하여 본 여자한복의 전통색

  • Cho, Woo 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Ho J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2.08.16
  • Accepted : 2012.11.3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Hanbok fashion in the modern Korea by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of remaining relics. The summary of findings from the researches and analysis from over 1840 pieces of Hanbok relics in modern Korea are as follows: First, since western-style cloth were introduced and utilized for Hanbok from 1960, the number of colors have drastically increased. However, the most commonly used colors and parts throughout all the periods remained the same. These are Y, R and white colors for Jeogori and Y, R and PB colors for Chima. And, as for the representative color of each of the six periods, significant changes of color were found Jeogori in the 1960~1970s. While no clear color changes were found in the period prior to the 1960s and after the 1980s. Secondly, as for the color tones, although the high luminosity-low chroma were generally used over the periods, it was observed that various colors of low luminosity-high chroma began to be used from 1960 and so Jeogori became more colorful. And lastly, Y and white color were taking up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solid color arrangement. When composing 2 colors, the Y tone color dominants with R tone as sub-color was the most prevalent, and when 3 and 4 colors were combined, the extra color were increasingly seen in the upper garment cuff and collar so that the arrangement of different colors increased the aesthetic symbols when combined with the colors of the Chima.

Keywords

References

  1. 이순자 (1999), 한국전통복색에 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7(1), p. 83.
  2. 음정선, 채금석 (2006), 한국. 일본의 전통 색채관과 복색에 관한 비교연구, 복식, 56(6), pp. 16-32.
  3. 김미진, 조우현 (2006), 한국 근대 서양화에 표현된 한복의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56(1), pp. 5-12.
  4. 김미진 (2006), 한국 근대 색채시각자료에 표현된 한복 배색에 관한 연구-회화와 잡지표지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7-13.
  5. 이호정, 조우현 (2012), 기산풍속화를 통하여 본 한국 근대복식 고찰, 복식, 62(4), pp. 15-31. https://doi.org/10.7233/jksc.2012.62.4.015
  6. 박춘순, 조우현, 이호정 (2009), 근대이후 여자저고리 실물의 색채와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59(2), pp. 1-17.
  7. 신문박물관 (2004), 한국의 신문광고 100년, 서울: 신문박물관, p. 9.
  8. "장날마다 백의인에게 붉은 물 뿌려" (1933. 11. 4), 조선일보, p. 4.
  9.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옷, 서울: 현암사, pp. 202-203.
  10. 이태옥 (2005), 19세기 이후 여자 저고리 변천에 관한 실증적 연구-형태 및 봉제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김미래 (2009), 20세기 여자 저고리, 치마의 형태 변천과 요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나나 (2010), 근대이후 여자저고리 봉제방법의 특징과 변화요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홍, 조우현 (2008), 근대이후 저고리 안감깃 봉제 방법 소고,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2), pp. 139-147.
  14. 이은진, 홍나영 (2001), 해방이후의 한복용 소재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5), pp. 868-879.
  15. 신혜성, 홍나영 (2003), 해방이후 한복용 단직물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6), pp. 715-724.
  16. 안현주 (2010), 근대 여자한복 유물의 문양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Color techno system Co., Japan의 JX-777 Guide Book 참조.
  18. 조효순 (1998), 조선조 풍속화에 나타난 여자의 기본 복식연구 1: 치마, 저고리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1(2), p. 24.
  19. 고주미 (2000), 패션의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20세기 전반기 한국 패션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8-60.
  20. 남윤숙 (1990), 한국현대여성복식제도의 변천과정연구, 복식, 14, pp. 99-119.
  21. 한국염색공업협동조합연합회 편 (2004), 染色加工産業五十年史, 서울: 한국염색공업협동조합연합회, pp. 86-87.
  22. 박길순, 김진구 (1990), 과학기술의 발달이 한국 여성 복식의 변화에 미친 영향-1945-1988을 중심으로, 복식, 15, p. 115.
  23. 김찬주, 홍나영, 유혜경, 이주현 (2001), 20세기 초와 20세기 말의 전통한복 착용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9(4), pp.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