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presentation of Homosexuality and Related Discourse in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의 동성애 재현과 담론

  • 이자혜 (동서대학교 영상매스컴학부)
  • Received : 2012.10.30
  • Accepted : 2012.11.29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ategy of representation of homosexuality in the mainstream media and its meaning. And it also concerns what would be the limit of representations of homosexuality and what would be the discourse these representations produce in the major terrestrial broadcasting. For this investigation, we conducted the analysis of , the mainstream television drama, focused on the gay couple characters and their representations of conflicts and resolutions by comparing with the two heterosexual couples to figure out the differentiated representation strategies of homosexuality. As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presentation of sociogenic cause of conflict is absent for gay couple while it was found in the case of one heterosexual couple. And gay couple is exposed to the interpersonal conflicts against their family members than heterosexual couples and described as victims. Lastly, gay couple was represented as needing mediators to solve their problems while heterosexual couple was represented as ensuring subjectivity for the resolutions of conflicts.

본 연구는 최근 미디어에서 동성애의 재현이 표면으로 가시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주류 미디어인 지상파 방송에서의 동성애 재현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적 소수자로서의 동성애자에 대한 주류 미디어의 재현의 경계는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에서의 재현 전략을 분석함에 있어 동일 드라마 내에서의 이성애 커플과 동성애 커플의 갈등의 원인과 유형, 갈등의 해결과정에서의 상호작용의 재현 방식의 비교를 통하여 동성애의 재현에서 허용되고 배제된 재현 방식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생산되는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성애 커플에서 재현되는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갈등이 동성애 커플에는 부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동성애 커플의 경우 가족과의 심화된 대인관계 갈등 속에서 피해자로 묘사됨으로써 동정심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다. 또한 이성애 커플은 갈등의 해결에 주체적인 것으로, 동성애 커플은 갈등은 중재자의 적극 개입을 통해 비주체적으로 재현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훈순, 김미선, "여성 담론 생산의 장(場)으로써 텔레비전 드라마 :30대 미혼여성의 일과 사랑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1호, pp.244-270, 2008.
  2. M. Foucault, Histoire de la Sexualite 1: La volonte de savior, Gallimard, 1976. pp. 132.
  3. L. Gross, "What Is Wrong with This Picture? Lesbian Women and Gay Men on Television" In R. Ringer (Eds.), Queer Words, Queer Images: Communic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Homosexuality, pp.143-156, New York University, 1994.
  4. A. B. Raley and J. L. Lucas, "Stereotype or Success?," J. of Homosexuality, Vol.51, No.2, pp.19-38, 2006. https://doi.org/10.1300/J082v51n02_02
  5. S. B. Netzley, "Visibility That Demystifies: Gays, Gender,and Sex on Television," J. of Homosexuality, Vol.57, Iss.8, pp.968-986, 2010. https://doi.org/10.1080/00918369.2010.503505
  6. D. A. Fisher, D. L. Hill, J. W. Grube, and E. L. Gruber, "Gay, Lesbian, and Bisexual Content on Television: A Quantitative Analysis Across Two Seasons," J. of Homosexuality, Vol.52, No.3, pp.167-188, 2007. https://doi.org/10.1300/J082v52n03_08
  7. K. Battles and W. Hilton-Morrow, "Gay characters in conventional spaces: Will and Grace and the situation comedy genre,"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Vol.19, No.1, pp.87-105, 2002. https://doi.org/10.1080/07393180216553
  8. H. A. Shugart, "Reinventing Privilege: The New Gay Man in Contemporary Popular Media,"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Vol.20, No.1, pp.67-91, 2003. https://doi.org/10.1080/0739318032000067056
  9. F. Fejes, "Making a gay masculinity,"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Vol.17, No.1, pp.113-116, 2000. https://doi.org/10.1080/15295030009388382
  10. S. L. Manuel, "Becoming the homovoyeur: consuming homosexual representation in Queer as Folk", Social Semiotics, Vol.19, No.3, pp.275-291, 2009. https://doi.org/10.1080/10350330903072656
  11. S. A. Chambers, "Heteronormativity and The L Word: From a Politics of Pepresentatiom to a Politics of Norms," In K. Akas, J. McCabe(Eds), Reading The L Word: Outing Contemporary Television, I.B.Tauris and Co. Ltd., pp.81-98, 2006.
  12. B. Dow, "Ellen, Television, and the Politics of Gay and Lesbian Visibility,"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Vol.18, No.2, pp.123-140, 2001. https://doi.org/10.1080/07393180128077
  13. K. Battles and W. Hilton-Morrow, op. cit., p.99.
  14. 홍지아, "드라마에 나타난 낭만적 동성애의 재현과 사랑 지상주의적 서사",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1호, pp.162-200, 2008,
  15. 정여울, "대중문화에 나타난 '양성성'의 이미지 -소설 및 드라마 바람의 화원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 제37권, pp.7-33, 2009.
  16. 주창윤, "텔레비전 드라마의 서사구조 :동성애에 대한 표현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3호, pp.197-222, 2003
  17. 최상민, "대중의 욕망과 드라마적 재현 : 김수현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를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제36호, pp.199-223. 2012.
  18. 조서연, "<인생은 아름다워>에 나타난 TV드라마의 동성애", 한국극예술연구, 제35집, pp.365-401, 2012.
  19. 우주현, 김순남, "'사람'의 행복할 권리와 '좀비-동성애자'의 해피엔딩 스토리 : <인생은 아름다워> 시청자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28권, 제1호, pp.71-112, 2012.
  20. 백선기, 김승희, "텔레비전 드라마의 갈등 표출과 이데올로기적 의미: 드라마 <아줌마>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10권, pp.157-195, 2001.
  21. 김인영, "대인 갈등 조정의 서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1호, pp.87-116, 2010.
  22. 하종원, "텔레비전 일일연속극에 나타난 권력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2호, pp.385-420, 2003.
  23. 유진희, "김수현 홈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102-11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102
  24. 윤진숙, "동성애자에 대한 사회적.법적 고찰", 연세대학교 법학연구, 제19권 제2호, pp.277-297, 2009.
  25. 공성욱, 오강섭, 노경선, "남성 동성애자와 남성 이성애자의 삶의 질과 정신 건강 비교", 신경정신의학, 제41권, 제5호, pp.930-941,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