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n the Dosimetry of TLD and OSLD Used in Nuclear Medicine

광자극발광선량계와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한 핵의학과 선량 측정비교

  • 이왕희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방사선학과/가천대 길병원 핵의학과) ;
  • 김성철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방사선학과/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안성민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방사선학과/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2.09.12
  • Accepted : 2012.10.25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For the dosimetry of the radiation workers, film badge, Thermo Luminescent Dosimeter (TLD), and glass dosimeter are being used and recently, there is a growing trend of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OSLD) in the world. However, OSLD is only being applied some of the field in Korea and there has been almost no study made related to OSLD. Thus, the accumulated radiation dose of TLD and OSLD that have been most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was compared in the radiation workers of nuclear medicine and their working areasfor 3 months. As a result, the average surface dose showed 0.85 mSv difference with 1.27 mSv for TLD and 2.12 mSv for OSLD while having 0.73 mSv difference for the average depth dose with 1.33 mSv for TLD and 2.06 mSv for OSLD. The surface dose and depth dose of OSL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with higher measurement (p<0.05).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 측정에는 필름뱃지, 열형광선량계, 유리선량계 등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광자극발광선량계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일부에만 적용되고 있으며,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던 열형광선량계와 광자극발광선량계를 핵의학과 작업종사자 및 작업구역에서 3개월간 누적선량을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 평균 표층선량은 열형광선량계가 1.27mSv, 광자극발광선량계가 2.12mSv로 0.85mSv의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심부선량은 열형광선량계가 1.33mSv, 광자극발광선량계가 2.06mSv로 0.73mSv의 차이를 보였다. 광자극발광선량계가 표층선량 및 심부선량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높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09년 의료기관방사선 관계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 연보,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
  2. 한국동위원소협회, 2010년 방사선 이용통계, 2011.
  3.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자력안전법 제91조-방사선장해방지조치, 2011.
  4. ICRP Publication 60, Recommend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ation protection, 1990.
  5. ICRP Publication 103, Recommend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ation protection, 2007.
  6. 권석근, 김용민, 김창규, 방사선관리학개론, 한국동위원소협회, 2012.
  7. 진계환, 개인피폭선량측정기관의선량측정을위한 품질관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8. 강보선, 김가중, 김승국, 방사선계측학, 청구문화사, 2010.
  9. 최재호, 강주군, 장서구, "DAP(Dose Area Product)를 이용한 TLD와 PLD의 선량 측정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244-25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3.244
  10. 채건식, 김영국, 손인호, "열형광선량계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신소재연구소 논문집, 제5권, pp.143-151, 1995.
  11. I. Mrcela1, T. Bokulic1, and J. Izewska2,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in vivo dosimetry for radiotherapy: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clinical measurements in 60Co beams,"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Vol.56, No.18, 2011.
  12. C. Esquivel, M. S. Smith, and M. S. Sotirios Stathakis, "In Vivo Dose Measurements for Total Body Irradiation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s,"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2009.
  13. C. Esquivel, M. S. Smith, and M. S. Sotirios Stathakis, "Total Skin Electron Therapy Skin Dose Validation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s,"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2009.
  14. 김종언, 임인철, 민병인, "진단방사선촬영에서 광자극발광선량계를 이용한 환자 피부선량의 측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437-44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437
  15. 임인철, 유윤식, 이재승, "광자극발광선량계(OLSDs)를 이용한 직장암 방사선치료 환자의 피부선량 측정", 방사선방어학회지, 제36권, 제2호, pp.86-9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