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upervision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th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 특성이 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강종수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11.13
  • Accepted : 2012.11.30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From the social work practicum,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learn practical works in the field and cultivates professional ability. Furthermore, he tries to find his fitness and own qualification as a social work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upervision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the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career development. For the research, a survey of 212 students having had experience of social work practicum was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supervisors were female, the frequency of the supervision were regular, and supervision was offered mainly in the form of group or group and individual mixed. Students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nd student was 3.20/4, supervision satisfaction measurement was 3.03/4, and students showed low level of career identity(5.80/12). By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career identity was mostly affected by supervision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nd student,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This study finally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identity strategies on the results.

사회복지전공생은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전문적 역량과 실무적 지식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로서의 적성과 자질을 검토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 특성이 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사회복지현장실습을 마친 대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슈퍼바이저의 상당수는 여성이고, 슈퍼비전은 정기적으로 집단 혹은 개별과 집단이 혼합된 형태로 제공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평가한 슈퍼바이저와의 관계는 3.20/4, 슈퍼비전 만족도는 3.03/4 정도이지만, 진로정체감은 5.80/12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정체감에는 슈퍼바이저가 부장급으로 높을수록, 실습생이 원할 때 언제라도, 방법적으로 집단 슈퍼비전 보다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슈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슈퍼비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 Euster, "Gerontology field Education Experience of Graduate Social Work and Gerontology Certificate Student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31, No.3/4, pp.29-47, 1999. https://doi.org/10.1300/J083v31n03_03
  2. P. Larser and V. Robbins, "Field education: Exploring the future, Expanding the vis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0, No.1, pp.3-11, 2004. https://doi.org/10.1080/10437797.2004.10778475
  3. 김선희, 조휘일, 사회복지실습, 양서원, 2000.
  4. 양옥경,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모델 개발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권, 제1호, pp.97-127, 2005.
  5. 최은희, "사이버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사회복지 현장실습성과 및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475-48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475
  6.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현장실습 표준지침서, 2010.
  7. 이형하, "시간제 등록 학생의 사회복지현장 실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226-23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226
  8. M. Giddings, P. Cleveland, and C. Smith, "Responding to Inadequate Supervision: A Model Promoting Integration for post-MSW Practitioners," The Clinical Supervision, Vol.25, No.1/2, pp.105-126, 2006.
  9. 조수민, 실습 경험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김선환,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 서진환, 사회복지실습의 길잡이, 학지사, 2001.
  12. A. Kadushin, Supervision in Social Work, 2nd ed, Columbia University Press.
  13. R. Haynes, G. Corey, and P. Moulton, Clinical Supervision in the Helping Professions: a Practice Guide, Thomson Brooks Cole Publishing.
  14. 김계현, 상담심리학, 학지사, 1995.
  15. 김충기, 미래를 위한 진로교육, 양서원, 1995.
  16. J. L. Holland, D. C. Daiger, and P. G. Power, My Vocational Situation,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0.
  17.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2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18. M. L. Savickas, "Career-Style Assessment and Counseling" in Adlerian Counseling: A Practical Approach for a New Decade(3rd eds.) edited by, T. Sweeney, Muncie, IN: Accelerated Development Press, pp.289-320, 1989.
  19. J. L. Holland and J. E. holland,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iligy, Vol.24, pp.404-414, 1977. https://doi.org/10.1037/0022-0167.24.5.404
  20. 박종우,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21. 강철희, 최소연, "사회복지슈퍼비전의 방향 및 변인들에 대한 고찰: 연구와 실천방향을 위한 논의",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7권, 제1호, pp.29-66, 2005.
  22. 장혜경, 유영준,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와 실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권, pp.273-297, 2008.
  23. 정명숙, 사회복지 전공학생의 실습기관 슈퍼비전 내용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4. 정수경,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327-355, 2004.
  25. 김선화, 사회복지 실습 수퍼비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6. E. D. Shulman, Intervention in Human Service: A Guide to Skills and Knowledge(3rd Ed.), The C. V. Mosby Company, 1982.
  27. C. Knight, "A Study of MSW and BSW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Field Instructor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2, No.3, pp.399-414, 1996. https://doi.org/10.1080/10437797.1996.10778470
  28. 김태선, 대학생용 진로정체감 검사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9. L. Bennet and S. Cole, "Social Work field Instructor Satisfaction with Faculty field liaison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4, No.3, pp.345-352, 1998. https://doi.org/10.1080/10437797.1998.10778930
  30. M, Bogo, "Field Instruction in Social Work: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The Clinical Supervisor, Vol.24, No.1/2, pp.163-193, 2005.

Cited by

  1.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vol.13, pp.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