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xtile Design using Contents of Jeju Myth, Jacheongbi

제주신화 자청비(청비) 콘텐츠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 Oh, Jeong-So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
  • Na, Hyun-Shi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Womens University) ;
  • Jang, Ae-Ran (Dept. of Clothing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06.02
  • Accepted : 2012.09.19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one of Jeju culture contents projects, to suggest a new method to develop the textile design using contents of Jeju Myth, Jacheongbi, in other words, to create mythic patterns by borrowing effectively from the mythic image of Jacheongbi on contemporary fashion. To achieve this, after extracting mythic contents from real animals from the myth (chicken, horse, cow and owl) of Jacheongbi, we draw the animal motifs from a mythic image basis of archetypal symbols and empirical awareness about animals and shamanistic imagination, and create mythic patterns. In order to achieve this design pattern, Adobe Photoshop CS5 Extended was used to design the animal motifs, and then they were arranged via bidirectional layout. And to conclud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textile design using the mythic contents of Jacheongbi contribute to invigorating the fashion industry and regional culture contents projects in Jeju, and also become the basis of creating added value to it.

Keywords

References

  1. 김태곤, 최운식, 김진영 편저 (2009), 한국의 신화, 서울: 시인사, p. 15.
  2. 류수현, 김민자 (2011),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리스 . 로마 신화의 이미지와 상징해석-뒤랑(G.Durand)의 '상상계 이미지들의 동위적 분류도'를 중심으로-, 복식, 61(2), p. 132.
  3. 송태현 (2009), 신화와 문화콘텐츠 - 제주신화 '자청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2, p. 133.
  4. 김은정 (2010), 자청비 설화의 스토리텔링 연구 - 이명인과 김달님의 작품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 4.
  5. 장주근 (2001),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서울: 역락, p. 15.
  6. 허남춘 (2011), 제주도 본풀이와 주변신화 11집, 서울: 보고사, pp. 23-24.
  7. 송태현 (2009), 신화와 문화콘텐츠 - 제주신화 '자청비' 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2, p. 136.
  8. 현용준 (2005), 제주도 신화, 서울: 서문당, p. 3.
  9. 조동일 (1997), 동아시아 구비서사시의 양상과 변천, 서울: 문학과 지성사, p. 48.
  10. 현용준 (2005), 제주도 신화, 서울: 서문당, p. 276-277.
  11. 변민주 (2010), 콘텐츠 디자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 23.
  12. 변민주 (2010), 콘텐츠 디자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 22.
  13. 변민주 (2010), 콘텐츠 디자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 24.
  14. 송태현 (2005), 상상력의 위대한 스승들, 서울: 살림, pp. 170-171.
  15. 송태현 (2005), 상상력의 위대한 스승들, 서울: 살림, pp. 150.
  16. 조동일 (1997), 동아시아 구비서사시의 양상과 변천, 서울: 문학과 지성사, p. 109.
  17. 조효숙, 임현주 (2010), 전통복식 문화원형 콘텐츠의 디지털 활용 현황과 제언, 복식, 60(6), p. 93.
  18. 자료검색일 2012. 3. 7, http://dbplus.naver.com/dbplus.naver?where=shamanism&pkgid=201104111&query.
  19. 송태현 (2005), 상상력의 위대한 스승들, 서울: 살림, pp. 133-134.
  20. 천진기 (2002), 동물민속(動物民俗) 연구 시론(試論), 동아시아고대학, 5, p. 124.
  21. 신혜금 (2008), 제주신화 속 동식물 상징 읽기, 영주어문, 16, p. 136.
  22. 현용준 (2005), 제주도 신화, 서울: 서문당, p. 176.
  23. 자료검색일 2012. 5. 15, http://www.culture.go.kr/pattern/service/feature.do
  24. 남철균 편저 (2005), 문양의 의미, 서울: 태학원, pp. 2-3.
  25. 남철균 편저 (2005), 문양의 의미, 서울: 태학원, pp. 103.
  26. 신혜금 (2008), 제주신화 속 동식물 상징 읽기, 영주어문, 16, p. 141.
  27. 김지수 (2009), 재미있는 민화속의 문양이야기-의미와 상징편-, 서울: 한지이야기, p. 27.
  28. 임영주 (2011), 한국의 전통문양, 서울: 대원사, pp. 77-78.
  29. 남철균 편저 (2005), 문양의 의미, 서울: 태학원, pp. 493-495.
  30. 천진기 (2001), 한국 띠동물의 상징체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 217.
  31. 천진기 (2001), 한국 띠동물의 상징체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 225.
  32. 현용준 (2005), 제주도 신화, 서울: 서문당, p. 151.
  33. 천진기 (2002), 동물민속(動物民俗) 연구 시론(試論), 동아시아고대학, 5, p. 169.
  34. 천진기 (2002), 동물민속(動物民俗) 연구 시론(試論), 동아시아고대학, 5, p. 183.
  35. 남철균 편저 (2005), 문양의 의미, 서울: 태학원, pp. 433.
  36. 남철균 편저 (2005), 문양의 의미, 서울: 태학원, pp. 440-441.
  37. 김지수 (2009), 재미있는 민화속의 문양이야기-의미와 상징편-, 서울: 한지이야기, p. 64.
  38. 천진기 (2002), 동물민속(動物民俗) 연구 시론(試論), 동아시아고대학, 5, p. 65.
  39. 신혜금 (2008), 제주신화 속 동식물 상징 읽기, 영주어문, 16, p. 143-144
  40. 김지수 (2009), 재미있는 민화속의 문양이야기-의미와 상징편-, 서울: 한지이야기, p. 52.
  41. 자료검색일 2012, 4, 1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ld=742383
  42. 손미선 (2005), 작은 박물관 101곳, 서울: 김영사, p. 20.
  43. 김지현, 간호섭 (2009), 동북아시아지역의 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복식, 59(9), p. 3.
  44. 차임선 (2008), 텍스타일 디자인, 서울: 예경, p. 73.

Cited by

  1. Textile design development using relic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as a cultural content vol.21, pp.3, 2013, https://doi.org/10.7741/rjcc.2013.21.3.376
  2. Textile Pattern Design Using Saengbul Flower in Seo-Cheon Flower Garden of Jeju Myth vol.22, pp.4, 20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4.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