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Holocene Rice Agriculture and Palaeoenvironmental Change in the Yeongdong Region, Gangwon, South Korea

홀로세 후기 강원 영동 지역의 벼농경과 환경 변화

  • Park, Jungjae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djunct Researcher,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
  • Shin, Young Ho (Department of Geographic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 박정재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조교수 및 국토문제연구소) ;
  • 신영호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2.07.01
  • Accepted : 2012.10.11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We analyzed two radiocarbon-dated lagoonal sediment cores from Cheonjinho and Ssangho using various biogeochemical methods. As a result, the start times of rice agriculture are estimated to be AD 780 for Cheonjinho and 100 BC for Ssangho. There is a large temporal difference in the beginning of rice agriculture between two study sites even though they are closely located on the coast. This result indicates that pollen records are not sufficient to approximate the start time of rice agriculture accurately. A temporal lag seems to exist between the time when rice agriculture was first introduced and the time when full-scale rice agriculture began in the Yeongdong region, probably because of low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both study sites, rice agriculture intensified and slope erosion increased 250 years after full-scale agriculture began. This suggests that intensified rice agriculture resulted in an increased number of inhabitants, settlement expansion to hilly areas, and the consequent deforestation.

강원 영동지역의 천진호와 쌍호에서 확보한 석호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천진호는 AD 780에, 쌍호는 100 BC에 벼농경이 개시된 것으로 추정된다. 두 지점이 멀지 않은 거리 내에 있고 해안으로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벼농경 시작 시점에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화분자료를 활용하여 특정지역 벼농경문화의 정확한 전파 시점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시사한다. 강원 영동 지역의 경우, 낮은 농경 생산성으로 말미암아 벼농경 문화가 최초로 전파된 시점과 벼농경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 간에 시간적인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천진호 및 쌍호 분석 자료 모두에서 벼농경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약 250년 후부터 농경지시화분들의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산지의 침식이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는 벼농경의 활성화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저지대에서 산지로 거주지역의 확대가 나타났고 이로 인해 산림이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