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 가격 변동 추이
축산물은 완전단백질 식품이다. 고기단백질은 아미노산조성이 인체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과 유사하기 때문에 가장 품질이 좋은 단백질로서 영양학적으로 완전단백질로 취급된다.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 동물성단백질 섭취가 필수적이며 영양적으로 취약한 임산부, 수유부 및 환자와 노령의 경우에는 균형 있는 동물성단백질 공급이 더욱 필요하다. 그래서 선진국의 경우는 동물성 단백질섭취가 높으며, 1인당 연간 육류소비량은 미국이 120kg, 호주 92kg, 캐나다 85kg, 대만 73kg으로 높다. 그러나 우리는 41kg으로 축산물을 아주 적게 먹고 있는 편이다.
그렇지만 계속 증가하고 있기에 축산업의 미래는 희망적이다. 2010년 축산업생산액은 17조 5천억 원이며 농업생산액의 42%를 차지할 만큼 매년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2000년 대비 2.2배나 성장하여 앞으로도 축산업은 농촌을 이끌어 나가는 신성장 동력산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축산물 가격의 상승 원인은 지난해 연말 구제역(FMD)과 AI발생으로 국내 돼지고기와 가금류 생산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또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방사능 누출사고로 참치 등 수산물 소비가 줄면서 상대적으로 국내산 돼지고기와 계란 수요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지난 하반기부터 현재까지 환율인상과 사료곡물원자재 가격상승으로 배합사료 가격이 약 24%정도 상승하였다. 따라서 돼지고기와 계란 가격이 높아 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축산물가격대책에 신속하게 대응하였고 특히 돼지고기 26만톤, 종돈F1 31,000두, 닭고기 5만 톤, 산란용 병아리 100만수, 젖소생우 10,000두, 탈지분유 등 8건 유제품 118,500톤이 할당관세율 0%적용을 받아 이미 국내에 들어 왔거나 연말까지 들어올 예정이다. 그래서 돼지고기와 계란가격은 조기에 안정세에 접어들 수가 있었지만, 우리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 이후에는 오히려 생산량이 증가하여 국내축산물 가격이 현저히 낮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이제는 축산물 가격하락이 더 걱정이 되고 있다. 특히 한우고기 소비가 늘어나지 않아 장기간의 가격 하락으로 우리농가는 어려움이 많다.
한우고기를 속지 않고 구입하거나 선물하기 위해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할인판매를 하고 있는 농축협 매장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국내산 돼지고기 수요부진이 추석 이후에 지속된다면 금년 11월~내년 1월 지육가격은 kg당 5,000~5,300원으로 10월보다 낮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계란 산지가격은 1,200~1,400원으로 전년 대비 보합세가 예상되며, 전분기 대비 4~8%하락 할 것으로 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예측하고 있다.
축산물가격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통계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소비자물가는 45년 전인 ’65년보다 31.4배 상승하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보면 ’65년에서 ’70년대 초까지는 고도성장 위주의 정책기조 아래 연평균 10%이상의 상승률을 보였었다. ’73년 제1차 석유파동 및 ’78년 제2차 석유파동을 겪으며 ’74~’75년 그리고 ’80년대 초엔 물가가 20%이상 급등하기도 했다. 이후 ’82년부터 물가는 안정 기조로 돌아서 한자리수의 상승률을 유지하였었다. 특히 ’00년부터는 저성장과 시장개방에 따른 농산물 등의 수입증가로 3%내외의 낮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생필품과의 가격 비교
08년에는 원유가격 상승, 환율 상승에 따라 수입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며 경기침체 속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현상을 나타내며 연간 4.1%의 물가상승률을 기록했으며, ’10년 소비자 물가 지수는 115.5로 ’65년의 3.7보다 31.4배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층의 대표적인 식탁메뉴인 돼지고기의 경우 ’10년 물가지수는 108.40으로 ’75년 15.89 대비 6.8배 올랐고, 계란은 같은 기간 6.5배(17.99→117.80), 닭고기는 6배(21.65→129.50)오르는 정도였지만 쇠고기는 28.7배로 매우 높은 상승을 보였다. 그러나 영화 관람료는 같은기간에 21.3배(5.39→114.80), 대중목욕탕 요금은 27.9배(4.77→133.10)오르는 등 라면(6.9배)과 돼지고기, 계란, 닭고기 등을 제외하고는 주요 생활필수품의 가격 상승배율이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배율인 9.1배를 크게 웃돌았다. 특히 유치원 납입금(64.2배) 및 북어(55.9배), 갈치(47.9배)가 여타 상품에 비해 큰 폭으로 올랐으며, 커피는 23.1배, 시내버스 요금은 24.4배 오르는 등 평균 상승배율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축산물 중에는 쇠고기만 28.7배 올라 평균상승배율에 대비해 미미한 상승배율을 보였다. 최근 10년간 가장 많이 오른 상품은 금반지로 무려 338.4%나 상승하였다. 450여종 품목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품목으로 최근에도 안전자산 선호성향에 따라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이다. 금반지에 이어 시금치(186.7%), 북어채(185.6%), 자동차용 LPG(170.4%)순으로 상승폭이 컸으며 전자기술의 발전, 가격경쟁 등의 영향으로 이동전화기(-84.3%), TV(-75.2%), 모니터(-73.4%) 등은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등 축산물의 경우에는 상승 하락 Top5에도 속하지 않는 등 비교적 작은 상승률로 1996년 이래 비교적 물가에 작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1년 8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9%, 축산물은 전월대비 –2.7%였다. 상품은 전월대비 1.7%, 전년동월대비 8.5% 각각 상승하였고,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4.7%, 전년동월대비 13.3% 각각 상승하였다. 돼지고기는 전월대비 -7.3%하락 하였고, 쇠고기는 전년 동월 대비 -14.6%하락하였다. 그러나 돼지고기와 계란은 지난 연말 구제역과 AI여파로 전년 동월대비 각각 27.9%, 30.2%상승 하였지만 점차 낮아지는 추세이다.
축산물 물가상승 비율 미미
결론적으로 농축산물 물가가 오른 것은 국내 기상여건 악화에 따른 채소, 과일 작황의 부진과 지난해 말 구제역 및 AI 발생에 따른 돼지고기 공급 감소와 사료가격 상승 등에 기인한다. 최근 물가상승의 주범이 농축산물인양 호도되어 산업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기 쉬운데 ’11년 8월 기준 전체 물가 상승은 지난해 보다 5.3% 상승했는데 이중 농축수산물이 미친 영향은 23%이고 오히려 공업제품 및 서비스 분야가 각각 42%, 34%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축산물 중에서는 농산물이 16%이고, 축산물은 4%정도로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서민가계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은 대학 등록금과 초, 중, 고생의 사교육비 지출, 공공요금 인상, 전월세가 상승, 가계 대출이자 부담 등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주요 축산물 중 지난 50년간 물가 변동을 보면 쇠고기를 제외하고 돼지고기 6.8배, 계란 6.5배, 닭고기 6배 등 평균물가상승 배율 9.1%를 하회하였다. 그러므로 축산물은 공공재 및 서비스재에 비해 물가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축산물 가격안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축산물 생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생산기반 조성과 정부지원 및 농가 기술력이 높아야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