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질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Senior Citizens and Disabled People

  • 김형수 (조선대학교 행정복지학부) ;
  • 김용섭 (조선대학교 행정복지학부)
  • 투고 : 2011.04.29
  • 심사 : 2011.08.06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집단과 장애인 집단의 삶의 질을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 113명과 장애인 107명에게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참여,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 삶의 질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그 변수들 간의 실증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14.0과 AMOS 7.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 집단과 장애인 집단 모두에서 삶의 질과 상관이 높은 변수는 자기효능감과 사회활동참여이었으며, 자기효능감에서 상관이 높은 변수는 삶의 질과 사회활동참여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집단과 장애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사회활동참여와 일상생활능력이었다. 셋째, 노인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참여, 일상생활능력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삶의 질과 관련하여서는 모든 변수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인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에 또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논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y comparing the quality of life between senior citizen group and disabled people group. For this purpose, I surveyed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sociological variable of population, social support, society activity participa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o 113 senior citizens and 107 disabled people and analyzed the actual proof relationship of cause and effect in between variables. I executed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14.0 and AMOS 7.0 for the analysis of data. A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the variables highly co-rel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to both senior citizen group and disabled people group were self-efficacy and society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variables highly co-related with self-efficacy were the quality of life and society activity participation. Secondly, the variables which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enior citizen group and disabled people group were society activity participa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irdly, in the senior citizen group, social support, society activity participa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have meaningful effect on self-efficacy, and all variables have meaningful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However, in the disabled people group, social support did not have meaningful effect on self-efficacy, and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did not have meaningful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Based upon these study results I discussed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ed the successive study task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