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Social Capital Scal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적 자본 척도 구성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 문영주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1.07.06
  • Accepted : 2011.09.1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construct an social capital scale that could be commonly used b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o apply it to examine any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amo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by mail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15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nation and conducted latent means analysi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measurement indicators of social capital were proved to be satisfactory level. Secondly, social capital were found to be interpret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rough the review of levels of analysis. Meanwhile, the configural, metric, and scalar invariance of social capital scale were confirmed, which indicates that the social capital scale can be commonly applied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inally, latent means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amo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subindexes of social capital including network connectivity, setting and sharing of vision, reciprocal norm, trust and cooperation, and group particip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network connectivity, reciprocal norm, trust and cooperation and group participation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in sharing of vision, goal and core value. Those findings led to implications needed to manag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적 자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도가 높은 사회적 자본 척도를 구성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사회복지조직 간 사회적 자본 수준의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 15개 시·도의 사회복지조직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구성한 사회적 자본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 수준에 대한 검토 결과, 사회적 자본 변수는 조직 수준에서 해석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형태 동일성, 측정 동일성, 절편 동일성 확인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회적 자본 척도는 사회복지조직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잠재평균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하위 지표인 네트워크 연결성, 비전 설정 및 공유, 호혜적 규범, 신뢰 및 협력, 단체참여에 대한 사회복지조직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네트워크 연결성, 호혜적 규범, 신뢰 및 협력, 단체참여에 있어 조직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비전 설정 및 공유에 있어서는 조직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조직관리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