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ing Bike Road Design Alternatives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토지이용을 고려한 자전거도로 설계대안의 개발

  • 강경미 (한국교통연구원 교통투자분석센터) ;
  • 김응철 (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1.10
  • Accepted : 2011.07.06
  • Published : 2011.09.15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recently has focused on variety of policies to promote the use of bikes to control the emission of carbon. However, bike facilities with no regard to the safety and comfort of bike drivers has made inefficient bike roads. Also, the accidents related to bikes have increased rapidly. This study proposes the proper types of the bike roads considering land use and bike driver characteristics. The elements classifying the bike driver characteristics are driven through oneway ANOVA and cluster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types of the bike roads can be classified by the ratio of child and elderly bikers and the ratio of heavy trucks. Also, the each type is characterized by the land use types such ad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s through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installation of bike roads in residential area needs to consider convenience and safety simultaneously. It is also found that convenience should be the most considerable factor in commercial area. Lastly, safety should be considered in industrial area. Recommended methodology and bike road type based on the land use and bike driver's characteristics can be useful to develop bike-friendly environments and increase mode share of bikes.

교통부문의 탄소배출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지난 몇 년간 정부는 선진국과 함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다. 그러나 주변 환경에 대한 분석은 실시되지 않은 채 물리적인 조건만을 고려한 자전거도로의 설치는 미비한 자전거 이용률의 증가뿐만 아니라 무리한 자전거전용도로의 확장으로 자동차 운전자와의 마찰을 발생시켰다. 또한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 또한 보장하고 있지 않아 관련 교통사고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고자 주변 토지이용 및 자전거 운전자를 고려하여 해당 지역에 적절한 자전거도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토지용도(주거/상업/공업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요소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군집분석으로 그 특성을 그룹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에 적합한 자전거도로의 형태를 가로와 교차로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토지용도의 특성은 어린이/노인 비율 및 화물차종구성비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이들 특성에 의하여 주거지역은 편의성과 안전성이 동시에 고려된 자전거도로를, 상업지역은 편의성을, 공업지역은 무엇보다 안전성을 고려한 자전거도로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자전거도로의 안전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자전거 이용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6)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pp.128-145.
  2. 김경철.최창호(1994) "일본의 자전거도로 설계기준", 건설기술연구원, pp.9-15.
  3. 김영주(2009). "자전거 이동환경 개선을 위한 교통정책 및 프로모션 방안에 관한 연구-바이크 시티 서울(Bike city seoul)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pp.8-12.
  4. 대전발전연구원(2005), "자전거전용도로 네트 탐색 및 설계지침 연구", pp.117-124.
  5. 박병호(1997) " 자전거도로의 유형개발과 적용방안", 충북개발연구, 제8권 제2호, 충북개발연구원, pp.195-219.
  6. 변완희(2010) " 토지이용시설과 자전거도로 유형의 관계 분석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3호, 대학교통학회, pp.19-28.
  7. 서울특별시.서울지방경찰청(2009), "자전거도로 설치 지침(안)", pp.25-37.
  8. 신희철(2009), "국가자전거 정책의 방향 - 자전거도로의 설계를 중심으로-", 자전거정책, pp.105-131.
  9. 오수보(2006), "자전거 관련 법규.제도.시설상 문제점과 개선방향", 교통, 한국교통연구원, pp.14-28.
  10. 행정안전부.국토해양부(2010)," 자전거 이용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pp.28-45.
  11. 환경부.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2007). "환경친화적 자전거문화정착 연구", pp.37-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