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Leading Costume in 'Seodong Tale'

'서동설화'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 복식 고증

  • Received : 2011.06.15
  • Accepted : 2011.08.01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stume styles during the Silla(新羅), and Paekje dynasty[百濟] in 'Seodong tale'. In those days, costume form, color, pattern, and ornamen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presenting the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reviewing and researching the symbolic meaning and classifying the types of the style of the Costume in 'Seodong tale' through the antique records and tombs bequests and expressing the clothing of the appearance people in the picture. This study is about the costume styles representing the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during the Silla and Baekje dynasty in 'Seodong tale'. Sedong wore 'Heug Geon(黑巾)' and 'Yu', 'Ko(袴)'. The king of Silla, Jinpyung wore Tree and Antler-typed Diadem and 'Po(袍)' with 'GwaDae(銙帶)' and Earrings, Necklaces, Rings. The servant of Baekje wore 'Eunmhwakwansik[silver crown]' and 'Jangyu' bound the silver belt and 'Ko'. Silla Princess of the court, Seonhwa wore Feathered Trim with Conical hat, and 'Yu' bound the belt and 'SangdongChima' and Earrings, Necklaces, Bracelets, Rings. Sedong's mother's hair style was 'Eonjeunmeori' and wore 'Yu' and 'Ko'. The queen of Baeje, Seonhwa wore 'Keumhwasik[Gold crown]', and 'Po' bound the belt and Earrings, Necklaces, Bracelets.

Keywords

References

  1. 변종형 (2010), 서동설화의 기록화 양상 연구, 배달말, 47, pp. 3-4.
  2. 삼국유사 권2 武王〔古本作武康非也百濟無武康〕 자료검색일 2011. 3. 4, http://gate.dbmedia.co.kr/suwon/korea.asp?url_name=삼국사기삼국유사
  3. 김기흥 (2010), 서동설화의 역사적 진실, 역사학보, 205, pp. 184-185.
  4. 김종진 (2004), 무왕설화의 형성과 서동요의 비평적 해석, 한국문학연구, 27.
  5. 최용수 (1995), 서동설화와 서동요, 배달말, 20.
  6. 김선숙 (2007) 삼국유사(三國遺事) 무왕조(武王條)의 서동설화(薯童設話)에 대한 검토, 동아시아문화연구(구 한국학논집), 42.
  7. 김유미(2007), 여성국극에 나타난 대중 역사극의 한 양상 -<서동과 공주>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3.
  8. 삼국유사 권2 武王〔古本作武康非也百濟無武康〕 자료검색일 2011. 3. 4, http://gate.dbmedia.co.kr/suwon/korea.asp?url_name=삼국사기삼국유사
  9. 朝鮮画報社出版部편 (1985), 高句麗古墳壁畵, 東京:朝鮮画報社, 도판 83.
  10. 리은창 (1978), 한국복식의 역사(고대편),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59.
  11. 자료검색일 2011. 3. 2,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1880000,37
  12. 천마총박굴조사보고 (1974), p. 92.
  13. 이영훈, 신광섭 (2004), 고분미술 II, 서울: 솔출판사, p. 65.
  14. 梅原末治(1924), 慶州金鈴塚飾履塚發掘調査報告 大正十三年朝鮮古蹟調査報告, pp. 70-72.
  15. 김문자 (2008), 삼국시대 관모 및 관식 유물 가정을 위한 기준 설정, 복식 58(5), p. 30.
  16. 朱栄憲(1985), "高句麗壁畵古墳の被葬者について",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画報社, p. 31.
  17. 경주문화재연구소 편 (1993),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圖版․,圖面), 도판 12.
  18. 천마총발굴조사보고서 (1974), pp. 101-102.
  19. 경주문화재연구소 편 (1994),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本文), p. 95.
  20. 천마총발굴조사보고서 (1974), p. 97.
  21. 경주문화재연구소 편 (1994),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本文), p. 78.
  22. 경주문화재연구소 편 (1994),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本文), p. 87.
  23. 三國史記 卷 第三十三雜志 第二 色服條
  24. 김문자 (2002), 백제관식에 대한 연구, 한복문화, 5(2), pp. 22-23.
  25. 이진민, 남윤자, 조우현 (2001), 王會圖와 蕃客入朝圖에 묘사된 三國使臣의 服飾硏究, 복식, 51(3), pp. 156-157.
  26. 서미영 (2006), 백제공복에 관한 연구, 복식, 56(8), p. 63.
  27. 李弘稙(1965), 梁職貢圖論考"-特히 百濟國 使臣圖經을 中心으로, 고대창립 60주년기념논문집, pp. 295-325.
  28. 崔孟植(1998), 陵山里 백제고분 출토 裝飾具에 관한 一考, 백제문화, 27, p. 160.
  29. 崔孟植(1998), 陵山里 백제고분 출토 裝飾具에 관한 一考, 백제문화, 27, p. 159.
  30. 서미영 (2006), 백제공복에 관한 연구, 복식, 56(8), p. 69.
  31. 국립부여박물관 (2005), 백제인과 복식,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pp. 153-154.
  3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편 (1985), 皇南大塚 I(北墳)發掘調査報告書, p. 77.
  33. 김문자 (2008), 삼국시대 관모 및 관식 유물 가정을 위한 기준 설정, 복식 58(5), p. 21.
  34. 유희경, 김문자 (2004),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5.
  35. 이한상 (2004), 황금의 나라 신라, 서울: 김영사, pp. 173-174.
  36. 자료검색일 2011. 3. 4,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1,00900000,11
  37. 천마총발굴조사보고 (1974), pp. 98-99.
  38. 이한상 (2004), 황금의 나라 신라, 서울: 김영사, pp. 33.
  39. 자료검색일 2011. 5. 3,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540000,11
  40. 유희경, 김문자 (2004),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96.
  41. 국립부여박물관 (2005), 백제인과 복식,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pp. 95.
  42. 김문자 (2008), 삼국시대 관모 및 관식 유물 가정을 위한 기준 설정, 복식 58(5), p. 25.
  43. 국립부여박물관 (2005), 백제인과 복식,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pp. 124.
  44. 자료검색일 2011. 5. 4, http://www.heritage.go.kr/culture_2008/kor/search/pop_search_view.jsp?pk=PS01001004001000635000AE
  45. 자료검색일 2011. 5. 5,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1,01580000,34&mc=KS_01_02_01
  46. '은제 팔찌', 자료검색일 2011. 6. 2,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1600000,34&imgfname=a0160000034003.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은제팔찌(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