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inical Study on Effects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in Patients with FBSS(Failed Back Surgery Syndrome)

척추수술 후 증후군(Failed Back Surgery Syndrome) 환자 30례에 대한 봉약침 병행치료 효과의 임상적 연구

  • Cho, Eu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ang, Jae-Hui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Choi, Joo-Young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Yoon, Kwang-Shik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Hyu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조은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강재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최주영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윤광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이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Received : 2011.09.10
  • Accepted : 2011.10.06
  • Published : 2011.10.2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in patients with FBSS(failed back surgery syndrome). Methods : We investigated 30 cases of patients with FBSS, who had been treated from October 2010 to July 2011. We divided patients into two groups : group I was treated by acupuncture therapy only, and group II was treated by bee 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and general acupuncture. We measured the efficacy of treatments using the numerical rating scale(NRS) and grade and straight leg raising(SLR) test. Results : 1. The treatment method for group II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group I in reducing the NRS score on the fifteenth day after admiss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wo groups on the fifth day after admission and the tenth day after admission. 2. The treatment method for group II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group I in NRS improvement rate from its admission day to the fifth day after admission and from the tenth day after admission to the fifteenth day after admiss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of two groups from the fifth day after admission to the tenth day after admission. 3. Group II had a higher grade improvement rate from the seventh day after admission to the fifteenth day after admission than group I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results of two groups from its admission day to the seventh day after admission. 4. In SLR test improvement rate the treatments applied to group II was more effective than those applied to group I.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ee 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pain for patients with FBSS. Further clinical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these results and findings.

Keywords

References

  1.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 제3판. 서울 : 군자출판사. 2008 : 761-3.
  2.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제6판. 서울 : 최신의학사. 2006 : 617. 624.
  3. 석세일. 척추외과학. 개정신판. 서울 : 최신의학사. 2004 : 271-5, 218-47.
  4. 이병열, 안병철, 박동석. 요추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5 ; 12(1) : 364-79.
  5. 황금철. 요추간판 탈출증 수술후 발생한 요통 환자의 임상적 연구. 인제의학. 1997 ; 18(1) : 19-29.
  6. 김종규, 임경준, 김찬, 김현성. 척추수술후증후군 환자에서의 근육내 자극요법. 대한통증학회지. 2003 ; 16(1) : 60-7.
  7. 이건목, 이강창, 황유진. 요추추간판탈출증의 동서의학적 협진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2) : 1-10.
  8. 김호준. 미세전류 전침이 요통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1, 5, 25.
  9. 배은정, 조현열, 진재도, 신민규, 한상균. 봉독약침 병행치료한 요추간판탈출증환자의 임상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1) : 54-61.
  10. 귄기록, 고형균. 봉독약침요법의 항염, 진통작용에 미치는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 침구학회지. 1998 ; 15(2) : 317-31.
  11. 고형균. 봉독약침요법의 항염, 진통작용에 미치는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98 ; 13(1) : 283-92.
  12. 권기록, 고형균. 봉독요법의 면역반응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 침구학회지. 2000 ; 17(1) : 169-74.
  13. 권기록. 봉독약침자극이 3-MCA 유발 상피종에 대한 항암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7 ; 14(2) : 151-72.
  14. 이재동. 봉독요법(임상활용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1999 ; 21(3) : 3-8.
  15. 이진혁, 민관식, 김수영, 김상주. 요추 추간판탈출증 수술실패증후군 환자에 대한 보존적 치료 치험 3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0 ; 5(2) : 57-68.
  16. 홍순성, 진은성. 요추 추간판찰출증 수술실패증후군 환자에 대한 보존적 치료 치험1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9 ; 4(2) : 163-72.
  17. 이성환, 강민환, 이현, 이소열. 요각통에 대한 단침치료군, 봉약침 병행치료군, 중성어혈약침 병행치료군의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5) : 197-205.
  18. 채우석, 김양식. 요척추증으로 인한 요통의 전침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89 ; 6(1) : 113-28.
  19. 정선미, 박찬규, 김광호, 김자영, 손성철. 요추관 협착증에 대한 봉약침 병행 치료 효과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1) : 97-106.
  20. 김지혜, 남동우, 강중원, 김은정, 김갑성, 강성길, 이재동. 만성 요통에 대한 한의학적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임상연구 실태조사.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6) : 215-28.
  21. 한방재활의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제2판. 서울 : 군자출판사. 2007 : 53.
  22. Andersson GBJ. Epidemiologic aspects of lower back pain in industry. Spine. 1981 ; 6 : 53-60. https://doi.org/10.1097/00007632-198101000-00013
  23.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취원회. 침구학. 2판. 하권. 파주 : 집문당. 2008 : 72-9.
  24. 박겨울, 이현, 이병렬. 침구과에 입원한 요통환자의 천추안정성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9 ; 16(1) : 41-55.
  25. 박동석, 김정곤, 안병철. 요각통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1 ; 8(1) : 85-94.
  26. 유상민, 이종영, 권기록, 이향숙.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침 치료와 봉독침, 봉약침 병행치료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5) : 39-54.
  27. 이환모, 박문수.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의 분류 및 영상진단. 대한척추외과학회지. 2001 ; 18(3) : 314-20.
  28. Yu S, Hanughton VM, Sether LA and Wagner M. Anulus fibrosus in bulging intervertebral disc. Radiology. 1988 ; 169 : 761-3.
  29. Richardson ML, Genant HK, Helms Ca, et 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thop Clin North Am. 1985 ; 16 : 569-87.
  30. 양보규, 하정현, 한성호, 이승림, 정선욱, 안영준, 김민석.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관혈적 수핵 제거술에 따른 재발률과 생존율.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04 ; 39(6) : 636-41.
  31. Mixter WJ and Barr JS. Rupture of the intervertebral disc with involvment of the spinal cord. New Engl J Med. 1934 ; 211 : 210-5. https://doi.org/10.1056/NEJM193408022110506
  32. 방덕영, 윤승호.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비수술적 치료효과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검토. 대한재활의학회지. 1992 ; 15 (1) : 55-64.
  33. 이경래. 요배부 수술실패증후군의 임상적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8.
  34. 김병직, 조진태, 신동환, 김진호. 척추수술 실패 증후군의 원인 및 그 치료 성적에 관한 연구. 대한척추외과학회지. 1999 ; 6(1) : 135-40.
  35. Waddell GB. Failed lumbar disc surgery and repeat surgery following industrial injuries. J Bone Joint Surg. 1979 ; 61A : 201-6.
  36. 황희상, 전재천, 차정호, 정기훈, 이태호, 노정두, 이은용. 마미증후군 FBSS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1) 187-96.
  37. 황정수, 이동화, 박희수. 요추 수술실패증후군 환자에 대한 灸法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3) : 67-70.
  38. 대한약침학회. 약침요법 시술지침서. 서울 : 한성인쇄. 1999 : 18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