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ssessment of Usability of Web-storming System between Administrator and Designer Groups in Space Design Process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관리자·실무자 그룹의 웹스토밍 시스템 활용성 비교평가

  • 최길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인테리어재료공학과) ;
  • 김광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7.29
  • Accepted : 2011.09.06
  • Published : 2011.09.28

Abstract

Considering the online idea generation, or web-storming, system would be used differently by space designers depending on their job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usability of web-storming using a factor correlation table with a designer group in the field. Then, for analyse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findings on the usability of web-storming in a design administrator group to suggest comprehensive measures applicable to web-storming. The questionnaire results were analysed following a process of observation-interpretation-application, and the space design process and web-storming function factors were also analysed based on a factor correlation table. The analyses found that the most correlated space design process in both administrator and designer groups was the schematic design phase, and that the correlation started to lower upon division of labour. The assessment phase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esigner group and the administrator group. The assessment phase showed the second highest correlation in the designer group. In terms of the aspects related to project operation, the correlation was found higher in the designer group. Based on the findings, new applicable measures to each phase of web-storming were derived and summed up to suggest how to take advantage of web-storming in the field.

본 논문은 공간디자이너의 직무특성에 따라 on-line 기반 아이디어 발상 시스템인 웹스토밍의 활용성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실무 디자이너그룹을 대상으로 요소상관표를 이용한 웹스토밍 활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선행연구인 디자인관리자그룹 활용성 평가결과와 비교분석함으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상에서 직무특성에 따른 웹스토밍 활용방안을 종합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 결과를 관찰-해석-적용의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요소와 웹스토밍 기능요소 간 요소상관표 분석결과 관리자그룹과 실무자 그룹 양쪽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는 '계획설계' 단계로 확인되었고 분업화 시점으로 상관성이 저조해지는 것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실무자그룹이 관리자그룹과 확연한 차이를 나타낸 프로세스 부분은 '평가' 단계로 실무자 그룹의 경우 두 번째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프로젝트 운영과 관련된 부분도 실무자 그룹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각 단계에서 웹스토밍에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개선안을 도출하고 종합하여 웹스토밍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명, 웹 기반 창의적 집단발상시스템(CGTS)을 활용한 아이디어 발상 방법,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석사논문, p.1, pp.57-58, 2003.
  2. 마이클 미자르, 김승욱, 트렌드2005, 경영정신, pp.15-16, 2000.
  3. 손유찬, 함정도, 실내디자인의 이해, 기문당, pp.12-13, 2004.
  4. 오인욱, 실내디자인학, 기문당, pp.11-25, 2002.
  5. 우흥룡, 디자인사고와 방법, 창미, pp.225-227, 1996.
  6. 우흥룡, "디자인 혁신을 위한 창조적 발상지원 시스템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43호, pp.83-84, 2001.
  7. 우흥룡, 디자인혁신을 위한 창의적 집단 발상기술 연구, 미간행, 산업디자인 기반 기술 연구보고서, 산업자원부(디자인진흥원), p.41, 2003.
  8. 최길동, 김광명,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웹스토밍 시스템의 활용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1권 제3호, p24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3.241
  9. 최은희, 윤주현, 권영걸, "UN Studio의 공간 다이어그램 구성요소와 활용방법 분석",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67호, Vol.19, No.5, p.79, 2006.
  10. H. Sanoff, Methods of Architectural Programming, Dowden, Hutchinson & Ross, Inc, p.3,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