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Formal Pants Pattern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Lower-body Obesity

20~30대 하체 비만형 여성을 위한 정장 바지 패턴 연구

  • Ha, Hee-J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angmyung University)
  • Received : 2011.05.30
  • Accepted : 2011.08.01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pattern to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formal pants that reflec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with lower-body obesity. The subject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a Rohrer index of 1.6 or higher, a waist circumference 78.5cm to 83.5cm, and a lower drop of at least 18cm. The experimental pants patterns were developed by varying the waist line position, the waist ease, the ease in the hip area, the crotch length, the front and rear crotch width, the leg width, and the total lengt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version 18.0). To verify the difference, this study used a variance analysis and Duncan's test. The conclusions drawn by the study are as follows. To reflect the form element of an abdomen with fatty deposits, the waist circumference should have an ease of 2cm. The front waist result was W/4+0.5cm+0.75cm and the rear waist result was W/4-0.5cm+0.25cm. The hip circumference showed a total ease of 4.5cm. The front hip result was H/4+0.75cm and the rear hip result was H/4+1.5cm. The crotch width set to H/16-1cm and the applied rear crotch width was H/16+2cm. The rear hip area was given more ease to reflect the protrusion of the hip. Along the line extending from the knee area to the crotch line, the outer seam line was designed with a gradual S-shaped curve to accommodate the protrusion from the maximum thigh width.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영 (2008).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성인여성의 복부 비만과 지질대사지표와의 연관성." 방사선기술과학 31권 1호.
  2. 김현아, 천종숙 (2004). "20대 여성의 기성복 바지 맞음새와 하반신 체형인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2권 4호.
  3. 김효숙 (1998). "여성 바지 패턴에 관한 연구(1)-밑위길이 및 앞.뒤 밑너비 연장분 변화량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권 3호.
  4. 남윤자, 박재경, 이형숙, 최경미 (2007). 어패럴 메이킹 스커트.팬츠. 서울: 교학연구사.
  5. 박성준 (2006).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 사업 학술연구용역 결과보고서-한국인 비만 체형의 분류 및 유형별 특성 연구."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6. 박재경, 남윤자 (1999). "신체부위별 크기인식과 착의 행동과의 상관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권 8호.
  7. 박재경, 임원자(1994). "슬랙스 원형의 밑위 앞뒤길이 여유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권 5호.
  8. 송부경, 이정란 (2001). "슬랙스 구성요인에 따른 원형 연구 -45-59세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 한국의류학회지 25권 7호.
  9. 윤은재, 김영란, 윤은채 (2009). "여대생의 하체 비만관리-아로마 에센셩 오일을 이용한 경락 맛사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권 8호.
  10. 이경화 (2009). "비만 여성의 체형특성 분석을 위한 비만판정지수의 비교." 복식문화연구 17권 6호.
  11. 이경화 (2010). "주요 비만 판정 지수의 비만 기준 비교." 복식문화연구 18권 1호.
  12. 이영주 (1999). "비만 체형의 슬랙스 원형 설계를 위한 평면재단과 입체재단의 비교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8권 2호.
  13. 이진숙, 이정란 (2008). "20-30대 여성의 체형별 기성복 만족도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2권 4호.
  14. 이진희 (2002). "성인여성의 체형에 따른 기성복 적합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권 12호.
  15. 이형숙, 남윤자 (2007). 여성복구성. 서울: 교학연구사.
  16. 정희순, 이순원 (1998). "소재의 신장율에 따른 슬랙스 원형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1998년 학술대회논문집 1권.
  17. 제 6차 한국인 인체측정치수 직접측정 조사사업 보고서의 인체데이터 자료 (2010).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18. 천종숙, 석은영, 박순지 (1998). "바지원형 설계에 직물의 신축성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권 2호.
  19. 최영순 (2001). "체중조절 관심도에 따른 기성복 불만족에 관한 연구-비만 체형 여성을 중심으로 -." 한국생활과학회지 10권 3호.
  20. 최혜선, 이경미 (2003). "중년여성 기성복 하의의 착용실태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4권 3호.
  21. 최환석, 김숙영, 문선영, 김신정 (2006). "자신을 비만으로 지각하는 성인의 비만정도와 자아존중감 및 신체에 대한 태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7권 4호.
  22. 하희정 (2008). "플러스사이즈 여성 온라인 의류 쇼핑몰의 정장바지 사이즈 현황 및 맞음새 분석." 복식 58권 1호.
  23. 하희정, 성옥진 (2005). "지수치를 이용한 Plus-size 여성의 하반신 체형 연구." 복식문화연구 13권 1호.
  24. 한명숙, 하희정 (2005). 자기이미지커뮤니케이션. 교문사.
  25.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2006). 보건복지부.
  26. KS 성인 여성복의 치수 KS K 0051 (2004). 한국표준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