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Yang, Kyung-Soo (Department of Child & Social Welfare, Kyung Woon University)
  • 양경수 (경운대학교 아동.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0.11.24
  • Accepted : 2011.01.03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410 children aged 3-6 years, who completed scales of the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a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7.0.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ly, the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Secondly, children's self-efficacy was also found to affect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irectly. Thirdly, children's self-esteem have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진(1995). 아동의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능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혜선(1987).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딸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영(2008a)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미영(2008b).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아영, 차정은(2010). 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양육행동 지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자기조절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4(3), 563-582.
  6. 김정신(1999). 아버지 양육태도와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아(2010).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혜경(2006).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희순(1984).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아동기 자녀인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호은(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문정희(2008).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형태와 아동의 자기효능감, 우울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문태형(2001). 아동의 사회지능, 자아효능감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아동교육, 10(2), 37-48.
  13. 문혁준(1999).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1), 91-122.
  14. 문혜정(1995). 유아의 성별, 형제유무, 부모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혜진(2010). 성격과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보윤(2008). 초등학교 2-6학년 아동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발달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련. 초등교육연구, 21(3), 467-489.
  17. 설경옥, 문혁준(2006).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4(7), 1-9.
  18. 설경은(2008).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성은현(2004).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과 자녀의 창의적 사고력간의 관계에 미치는 자녀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3(2), 27-41.
  20. 우희정(1994). 아동의 자기효능감 발달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1), 71-90.
  21. 우정희, 이미숙, 전춘애(2003).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1(12), 91-101.
  22. 유미영(2010).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병두(199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욕구 충족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진주(2004).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 사회성숙도와의 관계성 연구. 대학원논문집, 33, 125-136.
  25. 이경숙(1995).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동영(1997).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효능감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선경, 이재연(1998).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기요인과 보호요인의 이론적 과정모델. 아동학회지, 19(2), 49-64.
  28. 이영순(1988).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발달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지혜, 김정옥(2009).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사회성발달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 학회지, 14(3). 61-89.
  31. 이혜주(1996). 친사회적 행동훈련이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 추론, 사회적 책임감, 친사회적행동 동기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희자, 정영숙(1980).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한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8(2), 24-39.
  33. 장경선(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장영숙, 강경석, 김희정(2003). 유아의 연령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아동학회지, 24(4), 41-53.
  35. 전인옥(1997). 어머니의 교육신념과 자기효능감,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대학교 논문집, 24, 657-684.
  36. 정안나(2008). 유아의 사회적 능력, 자기효능감, 정서지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조은정(2004).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미향(2002). 부모의양육태도 및 부모간 양육태도 일치정도에 따른 유아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최윤정(2009). 학교적응에 미치는 아동의 수줍음,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최한순(1995).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한신애, 문수백(2010).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0(5). 441-455.
  42. 황선명(1994).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사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44.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s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5. Baron, R. A., & Byne, D.(1991). Social psychology: Understanding Human interactions(5th ed) Newton, MA: Allyn & Bacon.
  46. Biller, H. B.(1971). Father, child, and sex role: parental development of personality development. Monstown Massacuseute: D. C. Health and Co.
  47. Bryant, B. K., & Crokenberg, S.(1980). Correlates and dimensions of prosicial behavior: A study of females sibling with their mothers. Child Development, 51, 529-554. https://doi.org/10.2307/1129288
  48. Cohn, D. A.(1990). Child-mother attachment of sixyear- olds and social competence at school. Child Development, 61, 152-162. https://doi.org/10.2307/1131055
  49. Doescher, S. M.(1986). Impact of prosocial classroom and home learning programs on preschool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50. Ladd, G. W., & Profilet, S. M.(1996). The child behavior scale : A teacher-report measure of young children's aggressive, withdrawn, and prosocial behaviors. Developmental Psychology, 32(6), 1008-1024. https://doi.org/10.1037/0012-1649.32.6.1008
  51. Lamb, M. E.(1981). Fathers and child develop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ier in Child Development. New York: Wiley.
  52. Maddux, J. E., Norton, L. W., & Stoltenberg, C. D.(1986). Self-efficacy expectancy, outcome expectancy, and outcome value: Relative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783-789. https://doi.org/10.1037/0022-3514.51.4.783
  53. Schaefer, E. S.(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 224-384.
  54. Schunk, D. H.(1981). Modeling and attributional feedback on children's achievement: a selfefficacy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73, 93-105.
  55. Staub, B.(1971). A child in distress: The influence of nurturance and modeling on children's attempts to hel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4, 130-140.
  56. Strayer, J., & Roberts, W.(1989). Children's Empathy and Role-taking: Child and Parental Factors, and Relations to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 227-239.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06-3
  57. Swnson, K. A.(1988). Child Rearing Practices and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Doctoral research paper, Biola University.
  58. Weir, K., & Duveen, G.(1981). Furth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for use by teach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2(4), 357-37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1.tb00561.x

Cited by

  1. The Effect of Father's Self-Esteem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vol.14, pp.6,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645
  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Self-efficacy, Social Competence, and Interactive Peer Play vol.9, pp.5,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321
  3. The Role of Fathers' Experienced Parent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Predicting Fathering Attitudes to Their Children vol.34, pp.3, 2013, https://doi.org/10.5723/KJCS.2013.34.2.59
  4.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Father's Trait on Self-Regulating Skills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vol.27, pp.2, 2015,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2.353
  5.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vol.9, pp.4, 2011,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031
  6.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유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vol.21, pp.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1.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