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in Korea: Empirical Analysis

우리나라 동향결혼의 변화추세와 결정요인: 실증분석

  • 조동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
  • 박선권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부) ;
  • 성낙일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부)
  • Received : 2011.06.15
  • Accepted : 2011.12.21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suggests some stylized facts regarding the marriage type, and attempts to assess demographic, regional and economic factors which affect the probability of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with original microdata on marriage over the period 1993-2009.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birthplace of spouse played a less and less important role in marriage-related decision over time. Second, in addition to differences in a propensity to choose a person from the same native place as a spouse across regions, mobility and composition in population affected the probability of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For example, an influx of people into the capital region accelerated the chance of face-to-face communication between persons from the different birthplace, thereby decreasing the probability of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Finally, wider income gap between husband and wife led to lower probability of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empirical analysis to investigat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birthplace.

우리나라에서 '동향'은 배우자의 선택에서 주요 요인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993년~2009년 기간의 통계청 혼인통계자료를 사용해 우리나라 동향결혼의 변동추세와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동향결혼 선택확률에 영향을 미친 각종 요인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동향결혼은 여전히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줄어들고 있다. 또한 동향결혼은 해당 지역에서의 인구이동 및 구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특히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은 타향출신의 결혼 후보자를 접할 기회를 증가시켜 동향결혼비율의 감소를 가져왔다. 또한 자신과 비교해 결혼 상대자의 소득이 더 커질수록 동향결혼을 선택할 가능성은 감소했다. 이는 배우자의 선택에서 동향요인이 약화되고 있는 데에는 경제적 요인도 작동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방대한 원시자료에 기초해 우리나라의 동향결혼 현상을 실증적 관점에서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란 (2000) "조선후기 가족제도 연구의 현황과 과제" 강만길 조선후기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 김영미 (1999) "동성동본 금혼제가 우리의 전통이라고요?" 이배용.신형식.강성원.김영미.정형지.유경아.권순형.강옥엽.김혜원.강지언.백옥경.조이옥.남미혜.김수경.이혜진.최은정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청년사.
  3. 김용학.김진혁 (1990) "지역감정의 관계적 분석: 결혼 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학 24: 65-86.
  4. 김정석 (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5. 김태영 (1973) "농촌가족의 혼인관행: 화암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문제연구 3: 173-182.
  6. 나간채 (1990) "지역 간의 사회적 거리감" 한국사회학회(편)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성원사 79-100.
  7. 박성용 (1995) "통혼권의 공간 동학적 의미: 청도 신촌의 사례" 한국문화인류학회 편 한국문화인류학 28: 377-406.
  8. 박성용 (2009) "Changes of Marriage Spheres in Korea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 Case Study of Four Villages"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논총 43: 599-627.
  9. 성낙일.조동혁 (2010) "우리나라 여성연상 결혼의 경제적 요인" 한국인구학 33(3): 1-30.
  10. 유홍준.현성민 (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1): 75-101.
  11. 이명진 (2001) "사회적 거리분석: 선거자료와 결혼선호도자료에서 나타난 지역 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조사연구 2(1): 37-57.
  12. 이삼식 (1993) "한국인의 혼인행태 변화분석" 한국인구학 16(2): 84-110.
  13. 전종한 (2005) "근.현대 민촌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의 사례" 대한지리학회지 40(6): 613-630.
  14. 진미정.정혜은 (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15. 최재석 (1983) "신라왕실의 혼인제" 한국사연구 40: 1-32.
  16. 최재석 (2002) 한국 초기사회학과 가족의 연구 일지사.
  17. 한경혜.이정화 (1993) "농촌지역의 통혼권 변화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3: 215-241.
  18. 한국심리학회 (1988) 심리학에서 본 지역감정: 지역 간 고정관념과 그 해소방안 성원사.
  19. 한충희 (1995) "조선 초기 청주한씨 영정(-1417이전, 지군사증령의정)계 가계연 구: 역관경향과 통혼권을 중심으로" 계명사학 6: 1-47.
  20. Baum, C. F (2006) An Introduction to Modern Econometrics Using Stata Stata Press.
  21. Beck, U. and E. Beck-Gernsheim (1990) 강수영.권기돈.배은영 역 (1999) 사랑은 지독한 혼란: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새물결.
  22. Becker, G. S (1973) "A Theory of Marriage: Part I"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 813-846. https://doi.org/10.1086/260084
  23. Becker, G. S (199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24. Blau, P. M (1977a) Inequality and Heterogeneity New York: Free Press.
  25. Blau, P. M (1977b) "A Macrosociological Theory of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3(1) 26-54. https://doi.org/10.1086/226505
  26. Blau, P. M. and J. Schwartz (1997) Crosscutting Social Circles: Testing A Macrostructural Theory of Intergroup Relations: Transaction Publishers.
  27. Eckland, B. K (1968) "Theories of mate selection" Eugenics Quarterly 15: 71-84.
  28. Festinger, L., Schachter S. and K. Back (1950) "The Spatial Ecology of Group Formation" in L. Festinger, S. Schachter and K. Back (eds.) Social Pressure in Informal Groups, 1950 Chapter 4.
  29. Gerth, H. H. and C. W. Mills ed. and tr (1998) From Max Weber: Essays in sociology London: Routledge.
  30. Goode, W. J (1970) World Revolution and Family Patterns New York: The Free Press.
  31. Goode, W. J (2007) The Family: Phi Learning.
  32. Hall, J. R (1998) "A Comparison of the Degree of Social Endogamy in England and Wales and the U.S.A." Glass D. V. ed Social mobility in Britain, London: Routledge.
  33. Hout, M (1982) "The Associa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Occupations in Two-Earner Familie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8(2): 397-409. https://doi.org/10.1086/227679
  34. Johnson, R. A (1980) Religious assortative marriage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 Academic Press.
  35. Lee, S (2009) "Marriage and Online Mate-Search Services: Evidence From South Korea" SIEPR Discussion Paper 7(42).
  36. Mare, R. D (1991) "Five Decades of Educational Assortative Mating"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6(1): 15-32. https://doi.org/10.2307/2095670
  37. Merton, R. K (1941) "Intermarriage and the Social Structure: Fact and Theory" Psychiatry 4: 361-374.
  38. Sweet, J. A. and L. L. Bumpass (1990) American families and households Russel Sage Foundation.
  39. Weber M., Roth G. and C. Wittich ed (1968) Economy and Society 3 NY: Bedminster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