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cept Map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 투고 : 2011.03.01
  • 심사 : 2011.05.24
  • 발행 : 2011.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cept map of kindergarten teachers concerning their levels of contents knowledge and their overall level of competency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104 teachers from 11 kindergartens in Busan. Data were analyzed by Sim's (2008) method based on Novak & Gowin (1984) and Morine-Dershimer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majority of participants made a limited concept map and used 22 representative categorie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category of 'various nations' was the most popular superordinate concept. Second, the level of knowledge in terms of the maps were generally low in so far as most of maps reached hierarchy 1.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were lacking in basic knowledge of multi-cultual education and therefore there is a real need for both conceptualization and teacher training for multi-cultual education, reviewing of current 'teachers', 'manuals', and follow-up research aimed at analyzing teacher's multi-cultual education compet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지도서 10-세계 여러나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부(1999). 유아를 위한 세계 이해 교육. 서울: 교육부.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유아를 위한 세계 이해 및 다문화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 김혜자(2009).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실제. 건국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모경환(2009).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75-99.
  6. 박미경․이승연(2008).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 실천 형태 및 실천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8(2), 5-27.
  7.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이혜경․설동훈․정기선․심인선(2010). 2009년 전국 다문화 가족실태조사 연구. 정책보고서 2010-06. 보건복지가족부, 법무부, 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심성경․이효숙․변길희․김은아․박유미(2008). 유아문학 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9(1), 355-371.
  9. 안효진․전덕수(2008).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윤정아(1998).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이명희(2009).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이선미․송지연(2008).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 신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3), 185-214.
  13. 이성아(2005). 유치원교사의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승은․서현(2008).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들의 교육실태 및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9(4), 147-166.
  15. 이현숙(2000). 유아교육에서의 반편견 교육의 적용. 경복논총, 4, 299-321.
  16. 임승렬(2001). 유아교사평가의 새로운 접근. 유아교육연구, 21(1), 81-116.
  17. 장선희(1997).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채정란(1999).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생활 주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최유경(2011).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예비유아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최현정(2011).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행정안전부(2008). 200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서울: 행정안전부.
  22. 헤럴드 경제(2010.5.9) '60개의 유아교육과 중 다문화 교육 고작 4곳뿐'.
  23. Banks, J. A., & Banks, C, M. (2003).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 l Education (2nd ed.). CA:Jossey-Bass.
  24. Baruth, L. G., & Manning, M. L. (1992). Multi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Needham Heights, MA:Allyn and Bacon.
  25. Beyerbach, B. A., & Smith, J. M. (1990). Using a computerized concept mapping program to assess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about effectiv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1), 961-971. https://doi.org/10.1002/tea.3660271005
  26. Derman-Sparks, L., & ABC Task Force (1989). Anti-Bias Curriculum: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C:NAEYC.
  27. Kendall, F. E. (1996). Diversity in the Classroom:New Approaches to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nd ed.) NY:Teachers College Press.
  28. Klein, M. D., & Chen, D. (2001). Working with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backgrounds. Albany, New York:Delmar.
  29. Morine-Dershimer, G. (1993). Tracing conceptual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9(1), 15-26. https://doi.org/10.1016/0742-051X(93)90012-6
  30. Novak, J.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Ramsey, P. G., & Williams, L. R. (2003). Multicultural education:A source book (2nd ed.). New York:Routledge Falmer.
  32. Robles de Melendez, W., & Osterag, V. (1997). Teaching young children multicultural classrooms:Issue, concept, and strategies. New York:Delmer Publishers.
  33. Sleeter, C. E., & Grant, C. A. (2009). Multicultural education. In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6th ed, pp. 136-173). Columbus, OH:Merrill.
  34. York, S. (1991). Roots and wings. St. Paul, MN:Redleaf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