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a Basic Life Habit Parents Rating Scale for Infant Early Childhood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부모 평정척도 개발 연구

  •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변혜원 ((주)베네세코리아 유아교육연구소) ;
  • 김길숙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12.31
  • Accepted : 2011.03.2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asic life habit scale for infant early childho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000 parents of children aged from two to five years old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the study made use of the following methods : descriptive statistics for SES variables, item-analysis,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and Cronbach's a for reliability. Most items were acceptable in terms of item response rates, and item discriminati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uncovered six factors, and 46 item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69 items in the original scale. The six factors were (1) safety and rules (2) neatness (3) manners (4) self-help (5) eating habits (6) cleanliness. Cronbach's a value for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s ranged from .76 to .94.of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Westport, CT : Greenwood Pres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고시 제1998-10호.
  2. 교육인적자원부(2007). 개정유치원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7-153호.
  3. 국립교육평가원(1995). 유치원 교육 평가.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곽노의.최민수.김규수.유구종(1997). 유아기본생활습관 평가도구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39-166.
  5. 김명순.강옥경.임양미(2008). 유아의 존댓말 사용과 어머니의 인식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8(5), 273-293.
  6. 김주영.문혁준(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이 유아의 사회적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1), 13-22.
  7. 류칠선(2003). 사소절에 나타난 아동의 예절 교육론. 영유아교육연구, 6, 75-91.
  8. 박주희.이은해(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9. 박찬옥(1994). 도덕성 확립을 위한 유아 교육 기관의 역할. 1994년도 한국유아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한국유아교육학회, 59-79.
  10. 보건복지부(2009). 표준보육과정. 제2010-71호.
  11.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 : 보육시설조사 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351000-000626-13.
  12. 안현정(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기본생활 습관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엄세진(2007). 아동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8(6), 103-118.
  14. 엄세진.정옥분(2006).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13(2), 55-76.
  15. 우남희.김영심.이은정.김현신(2009). 저 출산 시대의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한국 어머니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297-325.
  16. 이순형(2001). 한국아동이 초기 획득한 문법적 형태소의 종류 및 획득 시기. 아동학회지, 21(4), 51-68.
  17. 이은화.김희진.이승연(1996) 기본생활습관 평가척도의 개발을 위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6(2), 161-177.
  18. 이은해.박주희.최혜영(2005). 영유아용(만 2-5세) 발달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아동학회지, 26(6), 73-88.
  19. 이은해.이미리.박소연(2007). 아동 연구 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 이원영.방인옥.박찬옥(1992) 유치원의 기본 생활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회 유아교육연구, 12(1), 71-90.
  21. 이수진(2005). 기본생활교육 관련 온라인 콘텐츠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정금자(2001). 유아의 사회생활을 위한 기본생활습관 교수 방법. 인문예술논총, 22, 157-172.
  23. 정현진(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정현아(1994). 유아의 기본생활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한광옥(1999). 재미있는 소학. 서울: 풀잎.
  26. 川島隆太(2009). 腦の働きと朝ごはん. 子どもの生活習慣づくりフォーラムin中部, 基調講演槪略版. 東北大學.
  27. 生涯學習政策局男女共同參畵學習課(2010). 早ね早おき朝ごはん 일본문부과학성 웹사이트 http://www.mext.go.jp에서 2010년 8월 30일 인출.
  28. Alpern, G. D., Boll, T. J., & Shearer, M. S. (2000). Developmental profile II : Manual. Los Angeles, CA :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9. Presler, B. (1996). Health and safety considerations : Caring for young children with exceptional health care needs. California institute on human service (CIHS), Sonoma State University.
  30. Lowry, C. S. (1973). Safety education curriculum. Bureau of Indian affairs (Dept. of interior), Albuquerque, N. Mex.
  31. Scaffer, D. R. (2005).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the 5th ed.). Belmont, CA : Wadsworth publishing.
  32.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87-97. https://doi.org/10.2307/1129640
  33.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 1969-1982. https://doi.org/10.2307/1129772
  34. Kohn, M., & Rosman, B. L. (1972). A social competence scale and symptom checklist for the preschool child : Factor dimensions, their cross-instrument generality, and longitudinal persist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6(3), 430-444. https://doi.org/10.1037/h0032583
  35.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 259-285. https://doi.org/10.2307/11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