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go-resilience and Directors, Co-workers and Family's Social Support to Childcare Teachers' Burnout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 Received : 2010.11.01
  • Accepted : 2011.01.1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go-resilience and directors, co-workers and family's social support to childcare teachers' burnou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26 childcare teachers from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nam province. They responded to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Ego-resilience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Duncan test for post hoc test,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by SPSS PC program (18.0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burnout scores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levels of childcare teachers, their working hours, children's number per class,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they teach.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r = -.11~-.62) among childcare teachers' ego-resilience, directors, teaching colleagues and family's social supports, and their levels of burnout. Finally, childcare teachers' ego-resilience and teaching colleagues' levels of social support helped explain about 43% the childcare teachers' burnout total scores and about 17~39% of their sub-scores.

Keywords

References

  1. 강학구(1996).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특징과 요인간의 관계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권혜경(200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미라(2004). 기관특성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순안(2005).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용미(2003). 유아교사들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4, 111-127.
  6. 김은화(2004).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정휘(199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신체적 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 A형 성격과 사회적 지원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지은.안선희(2007). 영아교사의 개인적 배경 및 근무여건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3), 149-162.
  9. 김현화(2010). 보육교사의 개인특성과 직무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혜성(2001).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진경험과 직무 만족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명준희 (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문채련.이소은(200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387-399.
  13. 박상희.문수경.이무영(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 11(6), 65-84.
  14. 박성호(2002).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박현진(1997).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희연(2005).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burnout)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보건복지부(2010). 2010년 보육정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9. 신성아(2006).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안효진.안선희.문혁준(2007). 어린이집 교사의 귀인 성향,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5), 221-232.
  22. 오선균(2001)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오영재(1991). 학교장의 지도성 행위.교사의 소진.학교효과성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유경숙.김수옥(2004). 유아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3(2), 293-302.
  25. 유은자(2001). 보육교사의 직무능력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유정혜(1996).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상옥(2005). 초등학생의 시험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 자기탄력성의 중재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정희.조성연(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4), 559-570.
  29. 이진화(2007).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 소진과의 관계. 아동교육, 16(4) 199-210.
  30. 임진형(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장휘숙(2001). 애착과 다섯 가지 성격특성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4, 105-119.
  32.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33. 한임순.김향자(1998)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4, 171-218.
  34. 한임순.이순례.김향자.권용은(1997).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 97-130.
  35. 한종혜(1996).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역량 지각 및 자아존중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황혜신(2008).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589-600.
  37. 허용남(2006).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39. Block, J. H., & Guerde, P. F. (1990). Depressive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 A longitudinal perspective on personality antecedent. In J. Roff, A. S. Masten, D. Dicchetti, K. H. Neuchterlein, & S. Weintraub (Ed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logy (pp. 334-360).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41. Fuqua, R., & Couture, K. (1986). Burnout and locus of control in child care staff. Child Care Quarterly, 15(2), 155-162.
  42. Hobfall, S., & Vaux, A. (1993). Social support : Social resources and social context. In L. Goldberger & S. Breznitz (Eds.), Handbook of stress :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2nd ed, pp. 685-705). New York : Free Press.
  43.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Boston : Addison-Wesley.
  44. Maslash, C., & Jackson, S. E. (1986). Maslash Burnout Inventory : Manual. Palo Alto, CA :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45. Maslach, C., & Pines, A. (1979). The burnout syndrome in the daycare setting. Child Care Quarterly, 6, 100-113.
  46. Tellegan, A. (1985). Structures of mood personality and their relevance to assessing anxiety with an emphasis on self-report. In A. H. Tuma & J. D. Maser (Eds.), Anxiety disorders (pp. 681-706). Hillsdale, NJ : Erlbaum.

Cited by

  1.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teacher efficacy to their burnout vol.14, pp.10,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0.4902
  2.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vol.10, pp.3,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