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009년 자료 중 19~65세 성인의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별 악관절질환 증상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에 포함된 연구 대상자는 남성 2,738명, 여성 3,427명, 총 6,165명이었다. 모든 통계 분석은 윈도우용 SPSS 17.0K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USA)을 사용하였다. 성별, 연령, 악관절 질환 증상의 유병률의 분석은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 연령과 악관절질환 증상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TMJ sound의 유병률은 10.1%, TMJ pain의 유병률은 1.5%, TMJ limitation의 유병률은 2.0%였다. 이 세 가지 악관절 질환 증상 중 한 개 이상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1.2%였다. 성별에 따른 악관절질환의 증상은 여성의 경우 TMJ sound, TMJ pain, TMJ limitation 증상의 유병률이 각각 10.7%, 1.8%, 2.2%로 남성 9.3%, 1.2%, 1.6% 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연령에 따른 악관절질환의 증상은 19~24세에서 TMJ sound, TMJ pain, TMJ limitation 증상의 유병률이 각각 18.7%, 3.4%, 4.2%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p<0.05). 또한 성별에 따른 악관절질환의 증상의 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악관절질환의 증상을 가진 경우, '적어도 두 개 이상', '세 개'의 악관절질환 증상을 가진 경우에서 여성의 유병률이 높았으나 모든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그리고 연령에 따른 악관절질환 증상의 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악관절질환의 증상을 가진 경우, '적어도 두 개 이상', '세 개'의 악관절질환 증상을 가진 경우가 45세 미만의 경우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This study is based on the data of adults between ages of 19~65 yrs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4th in year of 2009, which includes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within gender and age.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2,738 males and 3,427 females, total of 6,165.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measured by Window SPSS 17.0K Program (SPSS Inc., Chicago, USA). Prevalence of analysis of gender, age,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was measur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 order to find relationship among gender, age,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was based on crosstabulation analysis. As results, prevalence of TMJ sound was 10.1%, of TMJ pain was 1.5%, and of TMJ limitation was 2.0%. Among the thre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subjects who have at least one symptom was 1.2%. Prevalence of TMJ sound, of TMJ pain, and of TMJ limitation in female were 10.7%, 1.8% and 2.2%, respectively, which were greater than in male 9.3%, 1.2% and 1.6% respectively but it was stastically insignificant (p>0.05). Prevalence of TMJ sound, of TMJ pain, and of TMJ limitation in ages between 19~24 yrs were 18.7%, 3.4% and 4.2%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any other ages (p<0.05). Also prevalence of having at least one symptom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t least two, and three all were higher in females but stastically insignificant (p>0.05). On the other hand, prevalence of having at least one symptom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t least two, and three all were greater in age below 45 yrs and was stastically significant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