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s Favored by Chinese Viewers -Focused on Internet Bulletin Boards-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의 특성 -인터넷 게시판에 나타난 시청의견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3.08
  • Accepted : 2011.04.01
  • Published : 2011.06.28

Abstract

Increased numbers of Chinese are using the Internet as communications technology develops, and more Chinese are downloading and watching Korean dramas and movies.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to assess the present state of Korean wave in China, most Chinese young people are watching Korean dramas by downloading them from the Intern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s preferred by Chinese viewers: the factors are years of production, diffusers(Broadcasters), types of drama, story topics, main actors, and directors. As a result, Chinese viewers tend to prefer to dramas recently diffused in Korea, miniseries, and comic dramas and romance. Otherwise, broadcasters, main actors, and directors do not influence directly on the choice of dramas of Chinese. Particularly, Korean wave stars in China do not always appear into the dramas favored by Chinese viewers.

최근 중국에서는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터넷 사용인구가 크게 증가했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한국의 드라마를 다운로드해보는 사람이 늘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의 한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대부분의 중국 젊은 층은 한국드라마를 인터넷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게시판을 통한 시청의견을 바탕으로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드라마의 특성을 제작 연도, 방송사, 드라마 유형 및 주제, 주연배우, 감독 등의 변인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선호 드라마의 제작 연도 분석에서 2008, 2009년의 최신 드라마가 선호됨으로써 인터넷 다운로드 시청으로 인해 한국 드라마의 방영 시차가 더욱 좁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다. 방송사별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드라마 유형에서도 미니시리즈가 가장 선호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만, 기존의 연구와 달리, 드라마 주제 면에서 로맨스보다 코믹 장르가 선호되고, 한류 스타 출연 여부보다 주연 배우의 연기력이나 스토리가 한국 드라마의 선호 여부를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독부분에서는 특정 감독을 선호하기 보다는 장르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화시보, 2001.8.30.
  2. 경화시보, 2006.5.
  3. 고민경, 한국 TV드라마의 시청행태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관계 연구-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 고하리 스스무, "드라마가 한국 호감도 높여", <글로벌 문화산업포럼> 서울의 발표문, 2004.11.24.
  5. 장영, 중국에서 '한류' 형상과 한국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 중국百度사이트 http://www.baidu.com
  7. 신민사이트, 2008.09.21이문행, 2007.
  8. 유세경, 이경숙, "동북아시아 3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문화적 근접성",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3호, pp.230-267, 2001.
  9. 유세경, 정윤경,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해외판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4권, 제1호, pp.209-255, 2000.
  10. 이문행, "국내 지상파 방송 드라마의 수출 성과 분석-판매액, 판매 횟수 및 국가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세미나, 2005.
  11. 이문행, "아시아 8개국에 수출된 한국 드라마 특성에 대한 연구-2002년부터 2005년까지의 수출 실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9.034
  12. 이준웅,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47-5호, pp.35-35, 2003.
  13. 채가흔, 중국인의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 및 한국 이미지와의 관련에 관한 연구복경 젊은충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4. 허진, "한국의 한류현상과 한국 TV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002.

Cited by

  1. The rise and fall of Korean drama export to China: The history of state regulation of Korean dramas in China pp.1748-0493, 2019, https://doi.org/10.1177/1748048518802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