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nsideration of Social Presence and Augmented Reality in Locative Media

로커티브 미디어의 증강현실과 사회적 현존감에 대한 고찰

  • 최승영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디어학과) ;
  • 장우진 (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 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1.06.29
  • Accepted : 2011.08.19
  • Published : 2011.08.28

Abstract

Locative media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media in terms of being packed with user's space, place, and position nearby, which does not simply mean user's physical coordinates. This study has been started that I was drawn by the tendency of which current locative media contents are based on 'location-based information,' and closely related with 'Augmented Reality.' I wonder how media user's psychological experience/involvement are revealed when the media environment changes by the progress of technology. I wonder how media users perceive 'social presence' formed by locative media in current locative media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fact that user's perception of social presence formed in locative media conflicts with the previ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s attributes deepened my curiosity. In this study, the idea of 'more-proper-construct' is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resence in current locative media is considered, and is investigated by qualitative methodology how the 'location-based' attributes and 'AR' contribute to forming the social presence.

로커티브 미디어는 단순히 기존 미디어에 물리적인 좌표값이 더해진 것이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의 공간, 장소, 위치를 미디어의 속성으로 포섭하였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 연구는 연구자가 현재 로커티브 미디어 콘텐츠들이 '위치 정보에 기반'하고 '증강현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은 채 제작되는 경향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할 때 매체 이용자들의 심리적인 경험 관여가 어떻게 발현되는지, 구체적으로는 현재의 로커티브 미디어 환경에서 로커티브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들의 '사회적 현존감 인식'이 어떠할지 의문을 느꼈다. 특히 로커티브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들의 사회적 현존감 인식이 기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의 특징과 상충되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의문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현재 로커티브 미디어 환경에서 적절한 현존감 모형을 제안하고, 매개화된 상호작용의 채널로서 로커티브 미디어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현존감의 특성을 알아보며, 여기에 로커티브 미디어의 '위치 정보 기반' 속성과 '증강현실'이 기여하는 바를 정성적인 방법론으로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M. McLuhan,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2. C. Licoppe and Y. Inada, "Emergent Uses of a Multiplayer Location-Aware Mobile Game: The Interactional Consequences of Mediated Encounters," Mobilities, Vol.1, No.1, pp.39-61. 2006. https://doi.org/10.1080/17450100500489221
  3. http://www.gartner.com/it/page.jsp?id=1447613
  4. 서희전, "증강현실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현존감, 학습 몰입감, 사용성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구-교육정보방송연구,구-교육방송연구), 제4권, 제3호, pp.137-165, 2009.
  5. A. Lemos, "Locative Media and Informational Territories: Mobile Communication and New Sense of Place: A Critique of Spatialization in Cyberculture," Revista Galaxia, Vol.8, No.16, pp.91-109, 2008.
  6. A. Lemos, "Pervasive Computational Games and Processes of Spatializ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al Territories and Mobile Technologies," Em analise para publicacao no Canad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09.
  7. 박상천, "한국언어문학과 CT산업 : Culture Technology와 문화콘텐츠", 한국언어문화(구 한양어문), 제22권, 제0호, pp.5-28, 2002.
  8. 변기종, 이동춘, 김주완, 박찬용, 장병태, "증강현실을 이용한 차량 항법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제28권, 제2호, pp.493-495, 2001.
  9. 김경호, 조성익, 이재식, 원광연,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의 인지적.행동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시뮬레이션 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9-20, 2009.
  10. 우숙영, 박승호, "위치기반의 드로잉과 스토리텔링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69호, Vol.20, No.1, pp.65-78, 2007.
  11. I. E. Sutherland, "A Head-Mounted Three Dimensional Display," Proceedings of Fall Joint Computer Conference, pp.757-764, 1968.
  12. R. T.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 Vol.6, No.4, pp.355-385, 1997. https://doi.org/10.1162/pres.1997.6.4.355
  13. B. G. Witmer, and M. J. Singer, "Measuring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A Presence Questionnair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 Vol.7, No.3, pp.225-240, 1998. https://doi.org/10.1162/105474698565686
  14. K. Bystrom, W. Barfield, and C. Hendrix, "Conceptual Model of the Sense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8, No.2, pp.241-244, 1999. https://doi.org/10.1162/105474699566107
  15. B. Stevens, J. Jerrams-Smith, D. Heathcote and D. Callear, "Putting the Virtual into Reality: Assessing Object-Presence with Projection- Augmented Models,"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11, No.1, pp.79-92, 2002. https://doi.org/10.1162/105474602317343677
  16. 김유정,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8.
  17. 이은주,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트위터 : 향후 연구의 방향과 과제",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pp.29-58, 2011.
  18. J. A. Short, E. Williams and B. Christie,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London: John Wiley & Sons Ltd, 1976.
  19. 황하성,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스턴트 메신저의 이용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2호, pp.529-561, 2007.
  20. 황하성, 이옥기, "수용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의 매체풍요도 인식 및 이용의 차이",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2호, pp.300-324, 2009.
  21. F. Biocca, C. Harms and J. Burgoon, "Toward a More Robust Theory and Measure of Social Presence: Review and Suggested Criteria,"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12, No.5, pp.456-480, 2003. https://doi.org/10.1162/105474603322761270
  22. K. Nowak, "Defining and Differentiating Copresence, Social Presence and Presence as Transportation," Paper Presented at the Presence 2001 Conference Philadelphia, 2001.
  23. G. G. Robertson, S. K. Card, and J. D. Mackinlay, "Three Views of Virtual Reality: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IEEE Computer Society, Vol.26, No.2, pp.81-83, 1993.
  24. M. Lombard and T. Ditton,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3, No.2,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