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it Factors of Smartphone Application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a Brand Image : Focusing on Department Store Applications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 특성 요인에 관한 분석 : 백화점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6.17
  • Accepted : 2011.07.26
  • Published : 2011.08.28

Abstract

This paper aimed at smartphone applications of department store brands in order to examine the traits of applications for the brand image. The study carried out survey research with 114 smartphone users who experienced the application of a department store, assuming that the design, contents, ease of use,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would affect satisfaction and the brand image. This paper perfo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test of a model using PLS. Results showed that the design and contents of the application affected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and of a brand image, whereas ease of use did not affect satisfaction and brand image. Also, community was influential on satisfaction, whereas it was not influential on the improvement of a brand image. Satisfaction with the application showed a strong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a brand image; thus, it was found necessary for upcoming brand applications to enhance satisfaction for building a positive brand image.

본 논문은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 특성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백화점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콘텐츠, 사용용이성, 커뮤니티의 특성이 어플리케이션 사용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 향상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백화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본 스마트폰 사용자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통계 분석은 PL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콘텐츠는 만족도와 브랜드 이미지 향상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용용이성은 영향 요인으로 도출되지 않았다. 또한 커뮤니티 특성은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 이미지 향상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플리케이션의 만족도 또한 브랜드 이미지 향상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T경제경영연구소, 스마트폰 1천만 시대, 모바일 비즈니스 빅뱅의 서막, KT경제경영연구소 IT전략보고서, 2011.
  2. 최자영, 최윤식, "자기조절초점에 따른 공익연계 마케팅(CRM) 광고가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25, 2011.
  3. D. A. Aaker, and A. L. Biel, Brand Equity and Advertising, Routledge, 1993.
  4. K. L. Keller, "Concpetualizing, Measuring, and Manging Customer Based Equity," J. of Marketing, Vol.57, pp.1-22, 1993.
  5. B. Schmitt, Experiential Marketing: How to Get Customers to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to Your Company and Brands, Simon & Schuster, 1999.
  6. 김재범, 장동련, "감성 경험을 통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Nike와 puma의 온라인스토어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제22권, 제3호, pp.309-319, 2009.
  7. 정서란, 이진호, "브랜드 이미지가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학연구, 제18권, 제1호, pp.59-68, 2005.
  8. 조진경, 황현숙, "모바일 미디어 상의 브랜드 홍보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8권, 제2호, pp.223-232, 2010.
  9. 김유경, 이재호, "eBrand 이미지 차원의 특성과 경험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3호, pp.7-44, 2003.
  10. 김규대, 그린마케팅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1. 최동궁, 박영봉, "웹 특성 변수가 웹 브랜드 자산 형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제17권, 제3호, pp.123-146, 2002.
  12. 정지연, 이은종, "모바일 폰의 감성 요소 구조화를 위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46-47, 2008.
  13. A. L. Biel, "How Brand Image Drives Brand Equity," J. of Advertising Research, Vol.12, No.4, RC6-RC12, 1992.
  14. D. A. Aaker, Managing Brand Equity, New York: The Free Press, 1991.
  15. 김유경, 허웅, 김운, "eBrand로서의 인터넷 웹사이트의 개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4호, pp.229-276, 2001.
  16. D. A. Aaker, Building Strong Brand, New York: The Free Press, 1996.
  17. 김익현, 기업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8. 권미영, 수입화장품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브랜드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9. 김문성, New Media를 통한 Home Shopping에 관한 연구 : PC 통신과 CATV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20. 김주호, "브랜드 자산 측정에 대한 실증연구 및 광고가 브랜드 자산 구축에 미치는 영향분석", 광고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83-209, 1999.
  21. 추영지, 사용성 향상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종합병원 키오스크의 시각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22. 박민규, 효과적인 Flick제스처 유도를 위한 터치스크린 휴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 : 형태재인이론 관점에서 GUI의 고찰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3. 이지혜, 사이버가정학습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성평가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4. 김도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엔터테인먼트 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5. 김진우, 인터넷비즈니스.COM, 영진출판사, 2000.
  26.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27. 권형규, 박예원, "온라인 상호작용 및 UI이론에 따른 자기주도적 웹 기반 학술논문원문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인문학논총, 제11집, 제2호, pp.25-55, 2008.
  28. 최환진, 인터넷 광고의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 웹사이트의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9. 김형택, 전자상거래 마케팅 전략, 삼각형 프레스, 1999.
  30. D. Gefen, E. Karahanna, and W. S. Detmar, "Inexperience and Experience with Online Store: The Importance of TAM and Trust,"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50, No.3, pp.307-321, 2003. https://doi.org/10.1109/TEM.2003.817277
  31. J. J. Stein, Asynchronous Computer Conferencing as a Supplement to Classroom Instruction in High Education: The Impact of Selected Leane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Intera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Wyane State University, 1997.
  32.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33.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78.
  34. D. Temme, H. Kreis, and L. Hildebrandt, PLS Path Modeling - A Software Review, SFB 649 Discussion Papers, Humboldt University, 2006.
  35. M. Tenenhaus, V. E. Vinzi, Y. M. Chatelin, and C. Lauro, "PLS Path Modeling,"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Vol.48 No.1, pp.159-205, 2005. https://doi.org/10.1016/j.csda.2004.03.005
  36.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rcoulides, G.A. (Eds),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pp.295-336, 1998.
  37.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