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새 골조를 가진 중·저층 건물 접합부의 전강도 설계

Full Strength Capacity Connection Design for Medium-Low Rise Braced Steel Structure

  • 신정철 (현대엔지니어링, 녹색기술사업부) ;
  • 선성민 (현대엔지니어링, 신산업구조부) ;
  • 정영우 (현대건설, 전력사업본부)
  • 투고 : 2010.09.09
  • 심사 : 2011.02.11
  • 발행 : 2011.02.28

초록

강구조 접합부 설계에 '전강도 접합' 개념이 도입됨에 따라 비선형 정적 해석의 결과를 이용한 설계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무에 적용하기에는 생소한 개념이어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가 가상의 고층 구조물에 대한 내용 이어서 실제 대다수 설계가 이루어지는 중 저층 산업용 구조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진행 중인 중 저층 산업용 구조물의 비선형 정적 해석을 위한 간단 명료한 하중 패턴을 3차원 해석 모델에 대해 제시하여 해석을 수행하였고, 실무에서의 유용성을 위해 2차원 해석 모델에 대한 보다 간단한 하중 패턴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접합부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비선형 정적 해석에 사용하는 힌지 특성을 간단한 유추를 통해 새롭게 제시하였다. 제시된 하중 패턴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구하였으나 동일한 결과를 보여 상호 신뢰성을 입증하였으며, 제시된 힌지 특성을 적용한 구조물의 해석 결과로부터 합리적인 결과를 얻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Due to the concept of "full-strength capacity connection," the pushover analysis method became an issue in designing steel connections. It is difficult to apply practically, however, because engineers are unfamiliar with such method. Moreove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representative studies on them because most of the past pertinent studies were performed based on high-rise and/or virtual structures. As such, for this study, an actual(now in process) steel structure, a medium-low-rise industrial building, was selected. To perform pushover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lateral load patterns be used in a simple and clear manner for three- and two-dimensional analysis models. A new hinge property was also suggested to prevent erroneous connection design results that can occur in the design process. The suggested load patterns showed almost the same results regardless of the model that was used, from which the obtained load patterns were different. This result implies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load patterns. As for the suggested hinge property, the structural analysis yielded sound and reasonable results, which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hinge proper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봉, 이재환(2010) 보-기둥 접합부를 고려한 5층 철골골조 구조물의 비탄성 정적해석,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2권, 제2호, pp.129-137.
  2. 김경환, 주영규, 김상대(2010) 다이아그리드 구조 시스템의 내진성능계수 평가,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2권, 제3호, pp.229-239.
  3. 대한건축학회(2009) 건축구조기준(KBC2009) 0713 강구조의 내진설계, pp.558-593.
  4. 조준희, 김정재, 이철호(2010) 가새좌굴을 고려한 역 V형 가새 골조의 기둥부재 내진설계법,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2권, 제1호, pp.1-12.
  5. 한상환, 배문수(2008) 비탄성변위비를 이용한 능력 스펙트럼법,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2권, 제2호, pp.69-80. https://doi.org/10.5000/EESK.2008.12.2.069
  6.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2005) Seismic Provisions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AISC, Chicago, IL.
  7.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2005)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AISC, Chicago, IL.
  8. Applied Technology Council[ATC] (1996)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of concrete builrings (ATC-40), RedwoodCity, California.
  9.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BSSC] (2000) Prestandard and Commentary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MA-356,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10. Lee, C.H. and Kim, S.W. (2007) Elastic Seismic Design of Steel High-rise Buildingin Regions of Strong Wind and Moderate Seismi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teel Structure, Vol.7, No.4, pp.253-261. https://doi.org/10.12989/scs.2007.7.3.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