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rait Anxiety and Task Performance of Private Security Workers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특성불안 및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06.21
  • Accepted : 2011.07.18
  • Published : 2011.07.28

Abstract

The study defines the job characteristics anxiet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nd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While the study selected the private guards working at the private security companies registered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 Seoul 2011 and sampled total 300 people by using the judgment sampling method, the final input case number is 266 people. The study used alpha value of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maximum-likelihood classification of the covariation structure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urvey and the reliability. With the research method and the proces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ask importance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minus influence to the characteristic anxiety. Second, the feedback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minus influence to the characteristic anxiety. Third, the job autonom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minus influence to the characteristic anxiety. Fourth, the feedback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plus influence to the task performance. Fifth, the job autonom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plus influence to the task performance. Sixth, the skill variet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plus influence to the task performance. Seventh, the characteristic anxiet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plus influence to the task performance.

이 연구는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특성불안 및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2011년 서울 소재 경찰청에 등록된 민간경비 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선정한 후 판단표집법(judgm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300명을 표집하였으나, 최종 분석에 투입된 사례수는 266명이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의 알파값과 공변량구조분석의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과업중요성은 특성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피드백은 특성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자율성은 특성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피드백은 과업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자율성은 과업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기술다양성은 과업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곱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특성불안은 과업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Keywords

References

  1. 기호익, 김하연, "직무 불안과 심리적인 직무 적응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성학회, 제23권, 제3호, pp.231-257, 2009.
  2. 김경식, 스포츠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무지개출판사, 2010.
  3. 김경식, 박영만, 김찬선, 전용태,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활동 참가와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제8권, 제5호, pp.265-275, 2009.
  4. 김광근, 서철현, 주현식, "호텔종사원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19권, 제2호, pp.469-488, 2006.
  5. 김도영, 유태영, "성격의 5요인과 조직에서의 맥락수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Vol.15, No.2, pp.1-24, 2002.
  6. 김창호, "경호업무 수행자들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3호, pp.269-278, 2000.
  7. 심정선,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 정신건강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3권, 제4호, pp.733-754, 2010.
  8. 이동훈, 정종승, 황윤원, 김홍석, 유희정, 주동범, "조직에서의 직무 수행에 따른 성격5요인 특성의 비교", 한국직업교육학회, 제29권, 제4호, pp.35-54, 2010.
  9. 이상원, "경비지도사의 태도와 직무수행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지 제13권, pp.173-201, 2002.
  10. 이상철, 경호심리학, 서울: 도서출판 홍경, 2003.
  11. 이윤영, "호텔종사원의 직무특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02.
  12. 이지우, "작업집단내 동료간 과업수행관계의 영향요인들",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6권, 제2호, pp.179-195, 2009.
  13. 임번장, 김경식, "관람스포츠소비행동 구조모델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15권, 제1호, pp.31-46, 2002.
  14. 장창현, 김석일, 김성욱, "운동선수들의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1권, 제3호, pp.137-150, 2000.
  15. 정주섭, 박정훈, "신입경호원과 선임경호원 간의 업무수행 전 상태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3권, pp.109-131, 2010.
  16. 조선배, 김석영, 변정우, "호텔종사원의 직무특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19권, 제1호, pp.89-102, 2010.
  17. 주현식, 윤승현, 김화경, "컨벤션센터 종사원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1권, 제4호, pp.43-60, 2007.
  18. 최영옥, "고교 볼링선수들의 경쟁지향성과 경쟁 상태불안, 자기효능감 및 수행결과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제39권, 제3호, pp.338-348, 2000.
  19. 최효임, 송한수, 신미연, 김인석, 현명호, "특성불안에 따른 공포/비공포 자극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0권, 제1호, pp.31-46, 2005.
  20.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 "Spie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권, 제1호, pp.1-14, 1996.
  21.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The effect of sampling error on convergence, improper solutions, and goodness-of-fit indices for maximum likelihoo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49, pp.155-173, 1988. https://doi.org/10.1007/BF02294170
  22. J. D. Spielberger, Theory and research on anxity: In C. D. Spielberger(ed.), Anxiety and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1966.
  23. J. R. Hackman and G. R. Oldham, Developmet of the job diagnostic surr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0, No.2, pp.159-170, 1975. https://doi.org/10.1037/h0076546
  24. R. Martens,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