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quiry on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Using Form and Environment of Smart Phone : Focused on the Viewpoint of Media-ecology Studies

스마트폰의 이용형태와 이용환경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 고찰 :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하성보 (공주대학교 글로벌교수학습지원센터) ;
  • 강승묵 (공주대학교 영상광정보공학부)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5.16
  • Published : 2011.07.28

Abstract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using form and environment of smart phone and applications from the viewpoint of media-ecology studies. In so doing, this paper analysed the types of applications in SKT's application market T-store and in-depth interview on smart phone user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mart phone users organize mobile culture with individual curiosity and a desire for novelty depending on their personal tendencies and interest. Also, they use smart phone and applications as a sort of new complex mobile media and prescribe the role of smart phone and applications as their second body replacing themselves in a space using mobile. It means that new paradigm for a space using mobile could be formed by having created new space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media.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이용형태와 이용환경이 갖는 사회문화적인 함의를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마켓인 T-store의 애플리케이션을 유형화하고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이코노미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인포메이션, 커뮤니케이션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고,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피처폰에 비해 스마트폰을 더욱 개인화된 시공간상에서 이용하면서 집단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새로운 일상 문화를 구성하는 제2의 신체이자 복합미디어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집단지성을 구축하고 제3의 틈새공간을 통해 새로운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정호, "스마트폰 세상을 바꾼다," 조선일보, 2010년 7월 8일, A6면.
  2. 김중태, 모바일 혁명이 만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 한스미디어, 2009.
  3. 이재현,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4. G. Cooper, "The Mutable Mobile: Social Theory in the Wireless World," in B. Brown, N. Green, & R. Harper(eds.). Wireless World: Social and Interactional Aspect of the Mobile Age, pp.19-32, London: Springer-Verlag. 2002.
  5. M. Kakihara and C. Sorensen, "Mobility: An Extended Perspective," The 35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2002. https://doi.org/10.1109/HICSS.2002.994088
  6. K. Cohen and N. Wakeford, "The Making of Mobility: The Making of the Self," Paper Submitted to INCITE Project, University of Surrey in collaboration with Sapient, 2003.
  7. D. L. Hoffman and T. P. Novak,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60, Np.3, pp.50-68, 1996. https://doi.org/10.2307/1251841
  8. 한국인터넷진흥원, "스마트 모바일 강국 실현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제1차 인터넷이슈 기획조사, 2010.
  9. 임윤묵, "스마트폰과 공학교육: 스마트폰 견문록", 공학기술, 제17권, 제1호, pp.44-46, 2010.
  10. 김동섭, 조택연, "위치기반 SNS로서의 공간미디어 활용 전략",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제3호, pp.35-45, 2010.
  11. 임윤묵, "스마트폰과 공학교육: 스마트폰 견문록", 공학기술, 제17권, 제1호, pp.44-46, 2010.
  12. 이재범, 신용재, 김희영, "기업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과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2010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248-253, 2010.
  13. 이동후, "기술중심적 미디어론에 대한 연구: 맥루한, 옹, 포스트만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24호, pp.6-46, 1999.
  14. J. Meyrowitz, "Image of Media: Hidden Ferment- and Harmony-in the Field,"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3, No.3, pp.55-66, 199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3.tb01276.x
  15. 김성벽, "미디어생태학의 연구경향과 의의에 대한 고찰",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3호, pp.218-243, 2004.
  16. Casey Man Kong Lum,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2005, 이동후 역, 미디어 생태학 사상: 문화․기술․그리고 커뮤니케이션, pp.15-16, 한나래, 2008.
  17. J. Meyrowitz, "Image of Media: Hidden Ferment- and Harmony-in the Field,"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3, No.3, pp.55-66, 199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3.tb01276.x
  18. 이동후, "모바일 미디어 인터페이스의 공간성과 인간 행위자의 주체성에 관한 시론," 한국방송학회 2008 봄철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19-34, 2008.
  19. Casey Man Kong Lum,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2005, 이동후 역, 미디어 생태학 사상: 문화․기술․그리고 커뮤니케이션, pp.15-16, 한나래, 2008.
  20. 이정춘, 미디어 교육론-미디어시대에 살다, p.28, 집문당, 2004.
  21. 이동후, "인터넷 공간과 시간",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2권 제1호, pp.5-7, 2006.
  22. http://cafe.naver.com/androiders.cafe, http://cafe.naver.com/iroid.cafe, http://cafe.naver.com/cafeclip.cafe, http://cafe.naver.com/androidland.cafe, http://cafe.naver.com/ckking, http://cafe.daum.net/vidiogame1, http://cafe.naver.com/m3p, http://cafe.daum.net/RPG1030, http://cafe.naver.com/imu310, http://cafe.daum.net/IFP180T
  23. 황주성, 유지연, 이동후, "휴대전화의 이용으로 인한 개인의 공간인식과 형태의 변화",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4권, pp.306-340, 2006.
  24. J. Habermas, Strukturwandel der Offentlichkeit: Untersuhungen zueiner Kategorie der burgerlichen Gasellschaft, 1990, 한승완 역,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나남출판, 2001.
  25. 이동후, "제3의 구술성", 언론정보연구, 제47권 1호, pp.43-76, 2010.
  26. 정여울, 모바일 오디세이, 라이온북스, 2008.
  27. 김성도, 호모 모빌리쿠스: 모바일 미디어의 문화 생태학, 삼성경제연구소, 2008.
  28. P. Scannell, "Dailiness," in Radio, Television and Modern Life, pp.144-178, London: Blackwell, 1996.
  29. S. Moores, "The Dubling of Place: Electronic Media, Time-space Arrangement and Social Relationships," in N. Coildry and A McCarthy, Mediaspace: Place, Scale and Culture in a Media Age. pp.21-36, London: Routledge, 2004.
  30. P. Dourish, "Re-Space-ing Place: Place and Space Ten Years On," in Proceedings of CSCW'2006, pp.299-308, 2006. https://doi.org/10.1145/1180875.1180921
  31. A. Lasen, "History Repeating? A Comparison of the Launch and Uses of Fixed and Mobile Phones," in L. Hamill & A. Lasen(eds), Mobile World: Past, Present and Future, pp.29-60, London: Springer, 2005.

Cited by

  1. Smart Phone E-Book Application using Web Common APIs vol.11, pp.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028
  2.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User in Application Usage and Implications for Applications Business Model vol.13, pp.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