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othing Values and Casual Wear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20's and 30's Male Lifestyles

20-30대 남성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가치 및 캐주얼웨어 구매행동

  • Kim, Jin-Hee (Dept. Clothing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 Shin, Su-Yun (Dept. Clothing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김진희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신수연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1.01.02
  • Accepted : 2011.05.09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lifestyles of 20's and 30's male consumers,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the lifestyle groups, and analyze clothing values and buy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the lifestyles of 20's and 30's male consumers, 4 groups were identified as "adventurous and self-accomplishing type", "positive and socially active type", "active and trend seeking type", and "practical and information-oriented type". Second, 4 factors of Utilitarian Value were classified as "symbolism", "diversity of wearing purpose", "convenience of management", and "physical activeness". Third, 4 factors of Hedonic Value were extracted as "pursuit for confidence", "pursuit for sexual sensitivity", "pursuit for trend", and "pursuit for personality". Fourth, upon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clothing values based on lifestyles, 4 group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value as the pursuit of sexual sensibility. Fifth, the male consumers in 20's and 30's purchased to express individuality and made their own decision on buying the casual wear. Based on these results, adventurous and self-actualizing type and active and trend seeking type were 518 of 684 and represented male consumer in 20's and 30's.

Keywords

References

  1. 김국희. (2009). 남성의 추구이미지와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패션상품 구매 행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선희. (1999). 의복소비가치의 구조와 의복관여 및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선희, 임숙자. (2001). 의복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9), 1621-1632.
  4. 김은주. (2010). 미혼 직장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 행동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남성구, 안성희. (2010, 1). 패션 파워소비 '2030옴므. 패션비즈, pp. 44-55.
  6. 노현지, 정성지. (2003). 20-30대 남성 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수준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디자인포럼21 7, 19-38.
  7. 류은정. (2002). 의복가치가 인터넷 의류쇼핑몰의 서비스 품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2(3), 161-169.
  8. 박소민. (2002). 남성 정장 캐주얼 트랜드의 소비자선호도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류 상품기획의 방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은주. (1984). 남자 대학생의 의복관여행동과 구매행동.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정연. (1989). 남자 대학생의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태희, 이명희. (2003). 백화점과 시장 구매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복식, 53(7), 83-94.
  12. 서미아. (1988). 남성기성복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송정아, 추태귀. (1997). 한국과 영국여대생들의 의복가치와 의복의 원산지 비교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6(1), 89-96.
  14. 신사임. (2002).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남성 캐주얼웨어의 트렌드 선호도 분석 및 상품기획 방향의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주아, 신명희. (2005). 우리나라 대학생 집단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라이프스타일과 구매행동의 관계. 한국광고학보, 7(1), 177-209.
  16. 오윤정, 이영선. (2004).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가죽의류 평가 기준. 한국의류학회지, 28(3), 433-438.
  17. 유 희. (1995). 소비자의 가치의식과 의류제품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경손, 강혜원(1982). 성인남자의 자아개념과 의복행위와의 상관연구 -의복만족도, 과시성 유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6(1), 1-8.
  19. 이금실. (1992). 사회계층변인에 따른 여성의 의복태도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명희, 한화숙. (1996). 남성의 라이프스타일과 매일의 의복선택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28, 137-150.
  21. 이수정(2009). 연령별 남성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패션광고 태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윤정. (2005). 20-30대 남성 소비자들의 의복쇼핑성향과 성역할 정체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9), 27-40.
  23. 이지훈. (2001). 남성소비자의 구매행동 및 점포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경복. (2005). 여성소비자의 의복소비가치와 관여도에 관한 연구: 대도시와 중소도시 거주자의 비교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9(1), 68-78.
  25. 임숙자. (1992). 여대생의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의복행동변인과 사회 심리적 변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정명선. (1984). 남녀대학생의 의복에 대한 정숙성과 의복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8(1), 85-94.
  27. 정미혜. (2000). 대학생의 가치관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8(4), 602-610.
  28. 정은진. (2000). 성인남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민경. (2003). 캐릭터캐주얼 브랜드의 니트웨어 상품기획을 위한 남성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선형. (1993). 의류제품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한명숙, 정미혜. (2000). 대학생의 가치관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4), 602-610.
  32. 황상민, 김도환. (2004).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세대의 심리적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2), 31-47.
  33. 2030 남성이 변했다!. (2009, 12. 28).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0, 5. 24,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34. 2010년 상반기 패션시장 분석 및 하반기 전망. (2010).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자료검색일 2010, 8. 26, 자료출처 www.kofoti.or.kr
  35. Babin, B. J., Darden, W. R., &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4).
  36. Engel, J. F., Blackwell, R. D., & Kollat, D. T. (1986). Consumer Behavior (3rd ed.). Orlando: The Dryden Press.
  37.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2000). Consumer Behavior. Illinois: Thomson Learning.
  38. Eton, T. V., & Giacomino, D. E. (2001). An examination of personal values: Difference between accounting students and managers and differences between genders. Teaching Business Ethics, 5(2), 213-229. https://doi.org/10.1023/A:1011444127775
  39.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Boston: Houghton Mifflin.
  40. Lazer. W. (1971). Marketing management: A system perspective. New York: John Wiley & Sons.
  41. Morris B. H., & Betra, R. (1987). Affective advertising: Role, Processes, and measurement, in role of affect in consumer behavior.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404-420. https://doi.org/10.1086/209123
  42. VALS Types, SBI(Strategic Business Insights). Retrieved August 24, 2010, from http://www.strategicbusinessinsights.com/vals
  43. Vision, Scott., & Lamont, L. M. (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41(2), 44-55. https://doi.org/10.2307/1250633

Cited by

  1.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nsumption Value of Preschooler Clothing by Mothers vol.36, pp.10, 2012,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0.1100
  2. A Study on the Appearance Care Behaviors, Clothing Selection Behaviors and Clothing Design Preference of 20-30's Korean Men by the Level of Grooming vol.16, pp.2, 2014, https://doi.org/10.5805/SFTI.2014.16.2.245
  3.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consumption value in preschooler clothing vol.21, pp.3, 2013, https://doi.org/10.7741/rjcc.2013.21.3.413
  4. The Influence of Men's Media Information Utilization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Mediated Effect of Appearance Awareness and Metrosexual Tendency vol.15, pp.5, 2013, https://doi.org/10.5805/SFTI.2013.15.5.704
  5. Effects of Fashion Model’s Value and Shopping Propensity on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vol.67, pp.8, 2017, https://doi.org/10.7233/jksc.2017.67.8.034
  6. The Effects of Lifestyles on Pursuing Benefits and Purchase Intention of Athleisure wear vol.19, pp.6, 2017, https://doi.org/10.5805/SFTI.2017.19.6.723
  7. A Study o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of Male Consumers :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20s~30s and 40s~50s vol.20, pp.4, 2018, https://doi.org/10.5805/SFTI.2018.20.4.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