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Development Projects Considering Carbon Sink and Sequestration(II) - Focused on a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

탄소흡수원을 고려한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방안(II) - 주택 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11.12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rbon sequestration and sink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Through the case study, we found that the amount of carbon sequestration and sink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area of park and green space and, furthermore,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decreased slightly with implementation of district heating and renewable energ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ts land use plan to be established to minimize the amount of net carbon emission, taking account of both the amount of present carbon emission and the amount of the future carbon sink, sequestration, and emission.

Keywords

References

  1. 가좌뉴타운 3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2007, 가재울뉴타운 3구역 주택재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서.
  2. 국립환경과학원, 2001, 자동차의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3. 국토해양부, 2010, 국토해양통계연보.
  4. 산업자원부, 2006, 2005년도 에너지 총조사 보고서.
  5. 이관규, 2003, 아파트단지의 녹지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 학위논문.
  6. 이경학, 손영모, 서정호, 김래현, 박인협, 손요환, 이영진, 2006, 기후변화협약 대응 산림부문 온실가스 통계체계 구축,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서, 147-148.
  7. 원형규, 구교상, 정진현, 이천용, 이윤영, 김춘식, 2002, 산림재해 발생 및 산림내 토지이용변화가 토양탄소 저장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및 심포지움 초록집, 80.
  8. 환경부.환경관리공단, 2008,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9. 환경부, 2009, 2009년 11월 25일 보도자료.
  10. 환경부, 2009, 온실가스 항목의 효율적 환경영향평가 방안.
  11. 환경부, 2010, 기후변화 대응형 저탄소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한 온실가스 환경영향평가제도 활용방안 연구 최종보고서(검토안).
  12. 황상일, 박선환, 2010, 탄소흡수원을 고려한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방안(I) - 태양광발전소 건설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환경영향평가 19(6), 625-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