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해양환경정보시스템 구축

  • Kim, Jin-Ah (Climate Change & Coastal Disaster Research Department, Korea Ocean R&D) ;
  • Kim, Chang-Sik (Marine Environments & Conservation Research Department, Korea Ocean R&D) ;
  • Park, Jin-Ah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KAIST)
  • 김진아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
  • 김창식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방제연구부) ;
  • 박진아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 Received : 2011.10.07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o monitor and predict the change of coast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sea dyke and the development of land reclamation, we have done real-time and periodic ocean observation and numerical simulation since 2002.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data can be largely classified to marine meteorology, ocean physics and circulation, water quality, marine geology and marine ecosystem and each part of data has been generated continuously and accumulated over about 10 years. The collected coastal environmental data are huge amounts of heterogeneous dataset and have some characteristics of multi-dimension, multivariate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Thus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possible to data collection, processing, management and service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t enables the integral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and the data querying and analysis of enormous and high-complexity data through the design of intuitive and effective web user interface and scientific data visualization using statistical graphs and thematic cartography. Furthermore,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rend changed over long-term by the geo-spatial analysis with geo- processing, it's being used as a tool for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ecision support in Saemangeum coast. Moreover, for the effective web-based information service, multi-level map cache, multi-layer architecture and geospatial database were implemented together.

새만금 방조제 건설 및 토지 개발사업에 따른 해양환경변화 모니터링 및 예측을 위하여 2002년부터 실시간 또는 정기 해양관측 및 수치모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있다. 새만금 해양환경자료는 크게 해양기상, 해양물리/해수유동, 해양수질, 해양생태계, 해저 지형/지질 분야로 분류되며, 각 분야별 관측 및 예측을 통해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자료는 10여년에 걸쳐 축적되고 있다. 수집된 해양환경자료는 대용량의 다차원 다변수 시 공간적 분포 특성을 갖는 이질적 자료이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자료의 수집 처리 관리 제공이 가능한 정보시스템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된 웹 기반 새만금 해양환경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분야별로 축적된 새만금 해양환경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 관리하며,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과 statistical graphs 및 thematic cartography를 적용한 자료의 과학적 가시화를 통해 방대하고 복잡한 자료의 효과적인 조회 및 분석이 가능하다. 나아가 지오프로세싱을 통한 공간분석을 통해 장기간에 걸친 변화 양상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새만금의 친환경적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시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원활한 웹 기반 정보 서비스를 위해 다중 맵 캐쉬, 다중 레이어,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도 병행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11. 새만금 해양환경 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 최종보고서.
  2. Breman, J., D. Wright and P.N. Halpin. 2002. The inception of the ArcGIS marine data model. Marine Geography 1(1):3-9.
  3. Cohen, J. 2010. NASA Center for climate simulation: data supporting science. Magazine of Space Daily 6(5):1-12.
  4. Kim, C.S., H.S. Lim and C.F. Cerco. 2011.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ling for tidal lake and coastal waters with ROMS-ICM. Journal of Coastal Research 64(1):1068-1072.
  5. Lie, H.J., C.H. Cho, S. Lee, E.S. Kim, B.J. Koo and J.H. Noh. 2008.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Korea. Ocean Polar Research 30(4):475-484. https://doi.org/10.4217/OPR.2008.30.4.475
  6. Lim, H.S., J.A. Kim, C.S. Kim and K.S. Park. 2011. The saemangeum operational oceanography network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64(1): 1095-1100.

Cited by

  1. UML을 이용한 GIS기반 새만금 DIPSDRM 공법 모바일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vol.16, pp.1,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