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lan of Spatial Data Modeling for Tidal Power Energy Development

조력에너지 개발을 위한 공간데이터 모델링 방안

  • Oh, Jung-Hee (Ocean Data and Information Unit,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Choi, Hyun-Woo (Ocean Data and Information Unit,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Jin-Soon (Coastal Engineering & Ocean Energy Research Department,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Lee, Kwang-Soo (Coastal Engineering & Ocean Energy Research Department,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오정희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자료정보사업단) ;
  • 최현우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자료정보사업단) ;
  • 박진순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
  • 이광수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 Received : 2011.05.19
  • Accepted : 2011.06.30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Incheon Bay has a suitable condition for tidal power generation due to the high tidal range by topographical effect. Therefore a study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for tidal energy utilization has been promoted since 2006. It is needed to deduce optimal alternatives to determine the suitable location of facilities for tidal power generation and to reduce the environmental damage from development. In order to carry out efficiently this mission, spatial information system is essential to manage and use various spacial elemen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In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idal energy, spatial data could be defined as three kinds of dataset. Fundamental dataset is defined as spatial data such as tide, tidal current, wave, erosion and sedimentation. Framework dataset is composed of topographical map, facility map and bathymetry. The reference dataset is composed of marine ecology and environment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atic map. This study is mainly aimed at establishing methodology of conceptual spatial data modeling classifying as essential data model and optional data model through the definition of the components of spatial data.

지형적인 영향으로 큰 조차가 발생하여 조력발전에 유리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는 인천만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조력에너지 실용화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조력에너지 개발을 위해서는 조력발전 시설물의 최적입지를 결정하고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대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발과 보전에 관련된 다양한 공간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체계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조력에너지 개발을 위한 공간 데이터는 자료 특성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데이터 군으로 정의 가능하였다. 핵심 데이터 군으로는 조석, 조류 뿐 아니라 파랑, 침식, 퇴적 요소와 같은 공간데이터로 정의된다. 또한 지형도, 시설물도, 수심과 같은 기본 데이터 군과 해양생태와 해양환경 등 각종 주제도 성격의 참조 데이터 군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이러한 공간 데이터 구성 요소의 정의를 통해 필수적 데이터모델과 선택적 데이터모델로 분류한 개념적 공간데이터 모델링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함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8. 조력에너지 실용화기술 개발(인천만 조력발전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 중간보고서). 743쪽.
  2. 김영표, 임은선. 2003. GIS기반 공간분석방법론 개발 연구. 국토연구원. 183쪽.
  3. 김종규, 김정현. 2002. GIS와 해수유동모델의 연계방안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16(6):1-6.
  4. 김현욱, 최현우, 오정희, 박찬홍. 2007. 독도 해양자료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한 GIS 데이터 모델 수립.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153-167.
  5. 이기철, 서상현, 조승래, 한창식, 박창호, 노흥승, 김은형, 김진후, 박종화, 서영상. 2006. 해양GIS구축 및 활용방안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126-143.
  6. 이희연. 2004. GIS 지리정보학. 688쪽.
  7. 지식경제부. 2010. 에너지통계연보. 343쪽.
  8. 해양수산부. 2004. 해양지리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방안수립(최종보고서). 529쪽.
  9. 해양수산부. 2006. 조력, 조류에너지 실용화기술개발(1단계). 895쪽.
  10. BP Amoco. 2010.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45pp.
  11. Dawn, J.W., N.H. Patrick, B. Michael, G. Steve and B. Joe. 2003. ArcGIS Marine Data Model. ESRI.
  12. Joseph, K.B and M. Shitij. 2009. An analytical framework for GIS modeling. http://www.innovativegis.com/basis.
  13. Mitchell, A. 1999. The ESRI Guide to GIS Analysis Volume 1: Geographic Patterns & Relationships. ESRI Press. 186pp.
  14. Mitchell, A. 2005. The ESRI Guide to GIS Analysis Volume 2: Spatial Measurements and Statistics. ESRI Press. 238pp.
  15. Shashi, S. and C.L. Sanjay. 2006. Spatial Databases: A Tour. Pearson Education Inc. 262pp.
  16. Zeiler, M. 1999. Modeling Our World: The ESRI Guide to Geodatabase Design. pp.7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