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 Memoir Writing Program for the Elderly Using Cognitive Enhancement Techniques

기억 향상 요소를 강화한 노인 집단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의 효과

  • Received : 2011.01.21
  • Accepted : 2011.05.30
  • Published : 2011.05.30

Abstract

The life review means a process of appraising life of oneself and it is essential for finding the meaning of life in old age. The memoir writing is a kind of method of life review. The memoir writ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focused especially on enhancing the cognitive skills by providing priming and retrieval support for memory performance in reminiscing past experiences. All fourteen participants were healthy and normal community dwellers and attended four-month long programof memoir writing classes which are consisted of different themes for each wee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 memoir writing program would render the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nd cognitive ability of the elderly. The results were that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ego integrity of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hang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memoir writing can serve as one of the community initiative program to the growing population of the elderly for their emotional and cognitive challenges that they face everyday. To warrant the validity of the program, further study is needed for other sectors of elderly population, such as elderly living alone or those with both physical and/or cognitive disadvantages.

인생회고는 자기 삶을 돌아보고 평가하는 것으로 노년기에 삶의 의미를 찾는 데 필요한 과정이고, 이러한 인생회고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자기 일생의 사적(史跡)을 기록하는 자서전 쓰기다. 본 연구에서는 인생의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자서전 내용을 구성하여, 자전적 기억의 점화 및 인출 지지를 통해 글쓰기를 실행하고, 원고의 편집 및 교정작업을 거쳐 프로그램 종결 시 자신의 완성된 자서전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60세 이상 노인 14명을 대상으로 15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검사 결과, 자아 통합감, 생활 만족도, 삶의 질이 향상되고 우울감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단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이 노인의 안녕감 증진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논의에서 연구 결과의 함의를 비롯하여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해 기술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09년도 경북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