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Femme Fatale Image's Costume Form in Paintings viewed from DeLong's Theory

DeLong 이론에 의한 회화속 팜므 파탈 이미지의 복식 형태 분석

  • Kim, Bok-Hee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illa University) ;
  • Nam, Yoon-Sook (Division of Fashion Industry, Silla University)
  • 김복희 (신라대학교 의류학과) ;
  • 남윤숙 (신라대학교 패션산업학부)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1.01.22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thesis, concerning Femme Fatale Images Costume Form in paintings viewed from DeLong's Theory, analyzed frequency and traits on the basis of DeLong's Form Observation Theory and drew out the result as followings. First, Costume Form was mostly open, whole, planer integration, rounded, and indeterminate. The styles were similar each other. Second, surface structure was expressed by line & shape, color, texture, and pattern of which color had the highest priority. Next, line & shape and texture had the priority in order. They were expressed through intereaction. Third, the traits of Costume Form were a similar color harmony or large light and darkness contrast+soft quality+interaction by ambiguous line & shape. So, Femme Fatale Image in paintings was expressed by soft and pure images and erotic images.

Keywords

References

  1. 김인철. (2004). 영화 영상 이미지의 “典刑”에 관한 연구-팜므 파탈(Femme Fatale)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시각 디자인학술지(한국디자인포름), 10, 201-212.
  2. 김지영, 간호섭. (2004). 영화 ‘시카고’의 의상에 나타난 팜므 파탈이미지 연구. 패션비즈니스학회, 8(1), 16-33.
  3. 김경환. (1996). 19세기말 상징주의 회화에 나타난 팜므파탈(Femme Fatale) 이미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난희. (2007).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여성인식과 ‘여성성’에 대한 공포.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지, 10, 191-205.
  5. 김현정, 양취경. (2005). 영화 <위험한 관계>와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의 의상 비교 분석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5(4), 107-123.
  6. 강관수, 서남대. (2003). 느와르 영화에서의 팜므파탈의 위협: <이중의 배상>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4(2), 53-81.
  7. 강현구. (2005). 1920-30년대 모델소설의 새로운 독법과 매혹적인 악녀상. 한국현대문예비평연구지, 16, 7-32.
  8. 고경숙. (1998). 패션에 나타난 폐쇄형디자인과 개방형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권행가. (1995). 단테 가브리엘 로제티의 <레이티 릴리트 Lady Lilith>연구. 미술사연구지, 9(12), 22-60.
  10. 권수현. (2005). 팜므파탈의 도상 연구-영화의상을 중심으로-. 한국영화연구지, 27, 7-34.
  11. 남윤숙. (2008).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회화에 표현된 팜므 파탈 패션 이미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2), 11-25.
  12. 문지숙. (2005). 팜므파탈 : 성과 권력의 문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철두. (2006). 귀스타브 모로의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에 나타난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진형. (2007). 팜므파탈(FemmeFatale)이미지에 나타난 심상표현 연구-본인의 작 품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배정민. (2007). DeLong 이론의 지표적 고찰을 통한 패션의 형태적 과장 현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서봉하. (2004). 1990년대 이후 에스닉 룩의 폐쇄형과 개방형의 시지각적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4(4), 145-156.
  17. 손경애. (2003). 위스망스의 소설 ‘저 아래에’ 연구: 뒤르딸과 악마주의. 한국프랑스학회논집, 42, pp. 161-182.
  18. 송희영. (2007). 팜므파탈 Femme Fatal: ‘룰루 신화’에 드러난 유혹과 죽음의 에로스-베데킨트의 드라마와 팝스트의 영화 비교-. 한국브레히트학회지, 16, 339-459.
  19. 이화진. (1998). 팜므 파탈 Femme fatale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미선. (2003). 슈토름의 ‘하더스레프후스에서의 잔치’ 연구-팜 파탈, 팜 프라질 그리고 남성의 여성성. 한국독어독문학회지, 85, 112-129.
  21. 임현주.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양은진, 이언영, 이인성. (2007).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7(2), 197-202.
  23. 윤보원. (2005). 영화에 나타난 팜므 파탈 이미지와 스타일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한수정. (2006). 예술의 팜므파탈(Femme Fatale) 이미지에 관한 고찰.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한혜정. (2007).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에 나타난 팜므파탈의 이미지.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Delong, M. R. (1997). 복식조형을 보는 시각. (금기숙 역). 서울: 이즘. (The way We Look-A framework for visual analysis of dress. 1987. Lowa stat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