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nomena of Mixture in High.Low Class Culture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현대 니트패션에 나타난 상.하위문화의 혼합특성

  • Park, Moon-Hee (Dept. of Fashion Desig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박문희 (강릉원주대학교 의상디자인과) ;
  • 이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0.10.29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data that designers can utilize substantially, by developing creative materials in knit fashion through the analysis relevant to expression characteristics on the mixture in high low class culture, which were shown in knit fashion of contemporary women, as one of methods of pursuing a plan for being able to be appeared creative and unique knit wear. As for a method of this research, studie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n the mixture in high low class culture by preceding researches. And women's knit fashion was selected that is seen to be 3~18 gauge among the world's 4 collections from 2000~2008. The analysis was made with the analytical frame in mixture pattern, and the analytical frame in design element, and i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ixture of kidult element and high fashion was shown with characteristic of expressing humor and fun with graffiti, expression like character and cartoon, and fairy-tale fantasy through the exaggerated trifling article. The mixture of grungy element and high fashion was shown with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in the mixture of heterogenous pattern, and in tear, slit without the end treatment due to fraying the end strand in the knit fashion with basic stitch, patch work, fringing and tone-down gray, use of khaki and blue color, and match in opposite color. The mixture of underwear and high fashion was show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with the emphasis on underwear line like volume up, or with the mixture of details such as pants in diverse lengths, mini skirt, underwear lace, and ribbon.

Keywords

References

  1. 박종구 (2008. 12. 4). 다가올 융합기술 시대. 모바일로 읽는 매일 경제, 자료검색일 2008. 12. 14, 자료출처 http://mk.co.kr/
  2. 김석근 (1995). 메리야스공학. 서울: 문운당. p. 40.
  3. 최은희 (1998). 미술의상에서의 Knitwork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0.
  4.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5. 이일형 (1995). 현대건축의 혼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1), pp. 35-36.
  6. 이일형 (1995). 현대건축의 혼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1), pp. 35.
  7. 이유미 (2001). 패션트렌드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대한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소라 (2003). 서울컬렉션에 나타난 퓨전스타일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수현 (2005).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오승혜 (2000). 20세기 후반 복식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Fusion 현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4
  12. 김혜영 (2007). 패션디자인과 타 디자인 장르와의 크로스오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경란 (2005). 다문화시대의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1-25.
  14. 최호정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글로벌, 구조적 하이브리드: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복식 문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경인 (2008). 현대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백정현 (2009). 문화.예술과 현대패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현상.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Mendes, V., De La Haye, A. (1999). 20th Century Fashion. London: Thames & Hudson, p. 212.
  18. 정홍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407.
  19. 박수현 (2005).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0-118.
  20. 자료검색일 2010. 9. 30, 자료출처 www.samsungdesign.net.
  21. 박혜원 (1998). 패션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디자인연구, 3, p. 138.
  22. 하지수 (2002). 1990년대 절충적 기능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 복식, 52(5), p. 156.
  23. 이은영 (2004). 복식디자인론. 서울: 교문사, pp. 63-68.
  24. Horn, M. J., & Gurel, L.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pp. 66-67.
  25. 김영인 외 9인 (2007). 룩 패션을 보는 9가지 시선. 서울: 교문사, p. 66.
  26. 거리에서 쓰는 라이브 마케팅보고서 (2002). 디지털 시대의 행복한 왕따들, 키덜트族을 아십니까? 서울: 파란통신, p. 6.
  27. 박수현 (2005).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4.
  28. 패션전문 자료사전 편찬위 (1997). Fashion 전문 자료 사전. 서울: 한국 사전 연구사, p. 48.
  29. 박수현 (2005).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1-112.
  30.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