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댐유역 하천생태계평가를 통한 생태보전우선지역설정 -용담다목적댐 유역을 사례로-

Prior Eco-preserve Zoning through Stream Ecosystem Evaluation on Dam Basin -A Case of Yongdam-dam Watershed, Jeollabukdo Province-

  • 임현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Lim, Hyun-Je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Myung-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9.30
  • 심사 : 2011.03.30
  • 발행 : 2011.04.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댐 유역 하천코리도 생태경관 구역의 설정과 하천생태계평가를 통해서 생태적 가치가 높은 보전지역을 설정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8년에서 2009년까지 수행된 "용담 다목적 댐 및 저수지 주변지역 생태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에 기초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인 용담호는 그 유역면적이 $930km^2$로서 진안, 장수, 무주에 걸쳐 있으며, 주요 유입하천에는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구량천 등이 있다. 이 댐 호는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유역 내 골프장, 체육공원 등의 난개발이 발생하여 수질오염 및 생태계 훼손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하천코리도의 경관단위구역은 조사 및 도면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250mm, 500mm, 750mm의 3단계 세부구역으로 구분하였다. 하천생태계 평가는 하천환경평가와 코리도권 식생환경평가의 2가지로 구분하였다. 하천환경평가에서는 어류 및 저서 생물의 종다양성과 고유화 빈도, 하천환경의 자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식생환경평가에는 임상도, 식생보전등급, 조류 및 포유류의 종다양성과 법정 보호종의 유무 등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각각의 생태공간정보를 그 중요도에 따라 3등급화하였고, 최종적으로 이를 중첩하여 보전우선가치가 높은 지역을 설정하였다. 법정 보호종 출현지점은 절대보전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환경지역의 보전가치를 평가하는 댐 유역 하천생태계 평가방법을 제시하여, 개별적 생태조사의 결과를 통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야생동물의 행동권과 계절별 서식환경, 생물종 간 관계 등에 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에코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prior eco-preserve zone by establishing the eco-landscape unit on the stream corridor and evaluating the stream ecosystem in the dam basin. The fundamental ecological data was surveyed and collected through "the ecosystem project on Yongdam multipurpose dam watershed" from 2008 to 2009. The Yongdam Dam Watershed has several streams, Jujacheon, Jeongjacheon and Guryangcheon, of which the area is $930km^2$, stretching to Jinangun, Jangsugun and Mujugun Jellabukdo. In spite of being used for drinking purpose, the dam water quality and ecosystem is threatened by in-watershed pollution produced by development, golf course grounds and sports complex, etc. The landscape unit of stream corridor was zoned across by 250m, 500m, and 750m from the vicinity line of stream, which was decided to the accuracy of mapping and surveying. Types of evaluation are the Stream Corridor Evaluation(SCE) and the Vegetated Area Evaluation(VAE). In the process of SCE, several indices were analysed, fish species diversity, species peculiarity, and stream naturality. Indices for VAE were forest stand map, vegetation protection grade, species diversity and peculiarity for wild bird and mammal life. The importance of the ecological items is categorized into three levels and overlapped for specifying the prior preserve zone. The area at which legally protecting species appeared is categorized as absolute preserve area. This study might be meaningful for proposing the evaluation process of a stream corridor ecosystem, which can synthesize a lot of individual ecological surveys. We hope further research will be actively performed about the ecotope mapping which is based on a individual wildlife territory and habitats and also their relationship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귀곤,조동길(2004)자연환경․생태복원학 원론.서울:아카데미 서적.p.272.
  2. 김정호,한봉호(2006)도시생태계 구조를 고려한 비오톱 유형 구분.한국조경학회지 34(2):1-17
  3. 김정호(2007)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산림지역 생태계 평가기법 개발.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3):38-51
  4. 나정화,이정민(2003)경관생태적 측면에서의 도시 에코톱의 분류방법 및 특성분석.한국환경과학회지 12(12):1215-1225.
  5. 나정화,사공정희,류연수(2001)비오톱 연계망 구축을 위한 서식공간 평가:대구시 수성구를 중심으로.한국조경학회지 29(1):67-79.
  6. 노백호,박해경(2004)경관생태학에 의한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설정방안 연구.한국정책평가연구원.
  7. 서울특별시(2009)2010서울시 도시생태현황도 정비:1차년도.서울특별시.
  8. 성남시(2004)비오톱 등급평가 및 도시생태현황도(BiotopMap)GIS구축.성남시.
  9. 장래익,이명우(2009)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 중첩평가 계획기법.한국조경학회지 37(4):22-31.
  10. 조용현(1997)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최영국,이승복,박인권,김현수,변병설(2002)국토계획과 환경계획 체계의 연계방안 연구.국토연구원 pp.201-203.
  12. 최일기,이은희(2007)독일의 비오톱 유형분류에 대한 고찰.한국조경학회지 35(5):73-81.
  13. 한국수자원공사(2008)용담다목적댐 저수지 및 주변지역 생태환경조사.한국수자원공사.
  14. 한국조경학회(2008)조경계획1.서울:기문당.pp.349-352
  15. 황인이(2004)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지수를 이용한 수질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홍석환,한봉호(2009)소유역권 동물생태계 평가를 통한 택지개발지역의 종합적 생태계 평가 연구.국토계획 44(7):201-213.
  17. Almo, Farina (1997) Principles and Methods in Landscape Ec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13-15
  18. Edward, A. Cook and N. van Lier Hubert (1994)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Elsevier Science B. V. pp.97-103.
  19. Forman, Richard T. T. (1995) Land Mosa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p.38.
  20. Margalef, R.(1958)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36-71
  21. Pielou, E. C. (1966)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diversity. Amer. Nat. 100:463-465. https://doi.org/10.1086/282439

피인용 문헌

  1.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impact assessment model for dam construction vol.13, pp.1, 2017, https://doi.org/10.1007/s11355-015-0287-x
  2. Assessing the Habitat Suitability of Dam Reservoirs: A Quantitative Model and Case Study of the Hantan River Dam, South Korea vol.8, pp.11, 2016, https://doi.org/10.3390/su811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