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n Visual Landscape Control Elements among the Expert Groups

경관제어요소에 관한 전문가집단 간 인식차이 분석

  • Received : 2010.02.09
  • Accepted : 2011.02.2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Recent interests in the quality of urban space have raised awareness on the role and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Although laws and guidelines are officially ready to be imposed as for landscape planning, we do not have concrete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course of practices. The aim of this paper in this regard is to disclose the possible difference in awareness on 'visual landscape control elements' among experts engaged with urban space planning. The expert groups are distinguished to three which are for a planning, design and engineering and the survey is made by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nalyzed through basic technology statistics in SPSS and independent-sample t-test provided. The survey is done by tens of 'control elements' and the result is that specially, group 1 and group 2 in mixed landscape has the most discrepancy in awareness on those elements but relatively, they has less discrepancy in awareness on compare with other groups through all landscape area. In case of artificial landscape and mixed landscape in 'landscape controled area', the result for comparing between G1 and G2 is that there are the most discrepancy in awareness which are 7 control elements. In case of mixed landscape in 'landscape promoted area', there are 4 control elements for discrepancy in awareness between G2 and G3 which is quite different. The control elements which show the most discrepancy in awareness is height, floor space and building to land ratio in order. The shape elements has only discrepancy in awareness for comparing between G1 and G2 of artificial landscape in 'landscape controled area'. In terms of the average evaluation scor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se control elements, G1 seems to appreciate the role of these elements in systematic landscape planning more than the other group does. In other words, relatively low scores are given by G2 as for the overall functionality of visual landscape control elements. The texture, floor space and building of land ratio has low evaluation score for all area and types. It means that it should reverify for appropriateness of performance for landscape planning as visual landscape control elements.

도시공간의 질적 수준 증대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면서 경관계획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경관계획의 수립과 관련하여 경관법과 시행령, 지침 등은 마련되어 있지만 아직도 실무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상세한 근거 자료는 여려 가지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도시 공간 계획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경관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어지는 일반적인 경관제어요소(Visual Landscape Control Element)들에 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세 개로 구분하였는데, 계획관련, 디자인관련, 공학관련분야로 구분하고, 설문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초기술통계와 함께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총 10개의 제어요소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모든 경관권역에 걸쳐, 특히 혼합경관의 경우 G1과 G2 집단은 경관제어요소에 관하여 인식차이를 가장 많이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 간 비교에서는 인식차이를 보이는 요소가 적게 분석되었다. 경관관리권내 인공경관과 혼합경관의 경우 가장 많은 인식차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G1과 G2간의 비교 결과 각각 7개의 요소에 관하여 인식차이를 보였다. 한편 G2와 G3 집단간 비교에서는 경관형성권 내 혼합경관의 경우에 4가지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인식차이를 가장 많이 보인 제어요소는 높이, 용적률, 건폐율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형태요소는 경관관리권 인공경관의 경우 G1과 G2 집단간 비교에서 유일하게 인식차이를 보였다. 제어요소의 적정성 평가에 있어 평가값의 평균치를 비교해 보면 전반적으로 G1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제시된 경관제어요소들이 경관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높은 적정성을 가진다고 평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G2 집단이 제어요소의 적정성에 있어 전체적으로 낮게 평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감, 용적률, 건폐율요소는 모든 권역, 유형에서 적정성을 낮게 평가받았으며, 이것은 경관제어요소로서 경관계획에 활용함에 있어 타당성과 방법론을 재검증해 보아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호(1996)게슈탈트(Gestalt)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관리에 관한 연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1(3):143-157
  2. 김용수,박찬용(2006)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의 연구경향과 유형.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41(5):117-129.
  3. 김은일,백지성,서성철(1998)녹지의 개방경관과 폐쇄경관에 있어서 시각심리적 효과의 비교.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1):88-9
  4. 김정동 역(1998)건축의 외부공간.Yoshinobu Ashihara Exterior Design in Architecture.서울:기문당.
  5. 김충식(2004)경관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건축제어요소가 가로경관에 미치는 영향 분석.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정태일,오덕성(2003)우리나라 경관관련 법,제도 및 계획속에 나타난 경관유형과 제어요소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0):111- 120.
  7. 정충영,최이규(1999)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3판.貿易經營社.
  8. 조유경(2008)인지특성을 반영한 경관유형의 제어요소 설정과 적용방안.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진경돈,박경난 역(1992)도시경관과 건축.GordonGullenTownscape. 서울:집문사.
  10. 한국조경학회(2004)도시경관계획 및 관리.서울:문운당.
  11. 국토해양부(2001)준농림지역등의 경관관리 지침.
  12.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2007)경관계획 수립방향 및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