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and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Based on Natural Resources

자연자원에 기반한 지역유형분류와 발전방안

  • 박종준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 윤기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박창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Received : 2011.01.06
  • Accepted : 2011.03.14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aradigm of the use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is changing. Wise use of natural resources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their conservation value and, at the same time, taking them as an opportunity for regional development. It leads to an idea of pursuing regional development by making good use of natural resources. In this paper, natural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living species resources, ecosystem and landscape resources, and non-living resources. The resources were divided into 27 detailed analysis indice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165 municipalities in Korea were defined as spatial analysis units. Finally, a spatial database of natural resources was built. To classify the regional types, we conducted factor analyses with a detailed index of natural resources and a cluster analysis with the factor value.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ix factors have been deduced as follows: forest resources, landscape resources, coastal ecology resources, inland water resources, landform resources, and ecology visit resource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points of the factors drawn. The final classification consists of nine groups,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ach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suggested.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s for site selection and objective-setting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nd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natural resources.

전 세계적으로 자연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자연자원의 보전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지역발전의 기회요인으로 활용하겠다는 현명한 이용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연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자원의 분포와 이용 잠재력 등에 따른 지역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지역발전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자연자원을 생물종 자원, 생태계 경관자원, 무생물자원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총 27개의 세부 분석 지표를 설정하였다. 분석의 공단 단위는 165개 지자체의 행정구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각 지자체별 자연자원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지역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지역별 자연자원의 세부 지표를 요인분석한 후 이를 군집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요인분석 결과 산림자원요인, 경관자원요인, 연안생태자원요인, 내륙수자원요인, 지형자원요인, 생태탐방자원요인 등의 6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요인분석 결과를 근거로 군집분석한 결과 산림생태지역, 내륙수자원지역, 연안생태 경관지역, 지형 생태지역, 복합자연자원지역, 도시 근교 생태탐방지역, 생태경관지역, 기타지역 등 총 9개 지역유형을 도출하였고, 각 유형별로 지역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 정책 및 계획에서 대상 지역의 선정과 지역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겸(2009)자연자원을 활용한 생태․녹색관광 전략과 과제.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워크숍 자료집.p.45
  2. 김기환(1999)택지개발지구의 GreenNetwork형성을 위한 자연자원 보전가치판별에 관한 연구:생물서식공간 보존가치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봉구(1993)자연자원의 공급곡선과 세대간 자원이용에 관한 연구.자연자원과학연구 1(1):84-97.
  4. 김희갑(2007)환경통계학.서울:동화기술.
  5. 농림부(2004)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발굴 및 설계 기술 현장적용 연구
  6. 박재철(2009)농촌어메니티 자원분포와 유형별 자원의 특성분석.한국조경학회지 37(4):12-2
  7. 박창석,노백호,박용하,윤기란(2009)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I.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8. 배재수,윤여창(1993)우리나라 산촌유형화에 관한 연구.서울대농학연구지 18(1):57-6
  9. 성주인,송미령(2003)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농촌경제 26(2):1-22.
  10. 송민경,장훈(2010)군집분석을 이용한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8(1):83-88.
  11. 엄수원(1996)한국농촌지역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한국지역개발학회지 8(3):49-69.
  12. 엄수원(2003)지역관광자원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부동산학연구 9(1):47-59.
  13. 여운상,오동하,홍순복(2006)부산광역시 자연환경자원의 보전 및 활용방안:사례지(부산광역시 남구)를 중심으로.부산발전연구원.
  14. 윤여창,손철호(1997)입지적 특성을 고려한 산촌지역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한국임학회지 86(1):46-55.
  15. 이기철,강기래(2009)군집분석을 통한 전국 자연휴양림 유형분류.한국조경학회지 37(1):9-17
  16. 이상호(2008)삶의 질 지표에 기반한 농어촌 지역별 유형분류 및 요인 분석.농촌경제 31(4):191-199
  17. 이승래(1982)자연자원의 개념과 농업자원경제학의 연구대상에 대한 고찰.부경대학교 논문집 29:75-9
  18. 이정환(1987)한국 농촌지역의 유형구분.농촌경제 10(4):141-15
  19. 이종규,박종구,조현정(2005)서울시 자연생태자원을 활용한 도심형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서울도시연구 6(3):93-109
  20. 이종상(2002)지역유형구분을 위한 요인점수의 군집분석.국토계획 37(4):191-199.
  21. 장우환,최규섭(1989).산촌지역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농촌경제 12(4): 121-135
  22. 최호현,김선범(2006)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용도지역의 특성 과 유형분류.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127-136.
  23. 허준,김연(2007).자연자원 분포에 따른 국립공원 포지셔닝 연구.한국녹색환경디자인학회지 3(2):49-55.
  24. 환경부(2009)환경보전시책 추진상황 보고서.
  25. Brans, Edward E.P.(2001) Liability for Damage to Public Natural Resource : Standing, Damage and Assessment. Kluwer Law International.
  26. Chape, S.,S. Blyth, L. Fish, P. Fox, and M. Spalding(2003)United Nations List of Protected Areas.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and UNEP-WCMC, Cambridge
  27. OECD(2008) Natural Resources and Pro-Poor Growth : The economics and politics. DAC Guidelines and Reference Series.
  28. UNESCO(2008) Madrid Action Plan for Biosphere Reserves : 2008- 2013.